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한국어배우기

아니에요, 아니예요

2014-06-11

우리말에서 명사 뒤에 ‘이다’를 붙여서 ‘해요체’로 말하는 것을 글자로 표기할 때 보면 잘못된 것이 종종 있습니다. 그러면 예를 들어 ‘사람이다’의 경우는 ‘사람이에요’와 ‘사람이예요’ 중에서 어느 것이 맞을까요?

네, 이 경우에는 ‘이에요’의 형태가 맞습니다.
‘사람’이나 ‘책상’에서처럼 명사의 끝음절에 받침이 있으면 ‘이에요’를 쓰고, ‘의자’나 ‘나무’에서처럼 명사의 끝음절에 받침이 없으면 ‘예요’를 씁니다. 따라서 ‘이’ 다음에 ‘예요’라고 쓰는 것, 즉 ‘이예요’라는 형태는 없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아니다’도 이와 마찬가지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아니다’의 경우에도 ‘아니에요’와 ‘아니예요’라는 두 가지 형태를 뒤섞어서 사용할 때가 있는데, 이때는 ‘아니에요’만 맞습니다.

앞에서 설명해 드릴 때 명사의 끝음절에 받침이 없으면 ‘예요’를 쓴다고 했는데 왜 ‘아니예요’가 아닐까 하고 의아해하시는 분들도 계실지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아니다’는 명사가 아니라 용언이기 때문에 앞의 경우와는 다른 것입니다.

그러므로 ‘아니다’의 경우는 어간에 ‘에요’가 붙어서 ‘아니에요’가 되고, 준말은 ‘아녜요’인 것이지요.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