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한국어배우기

뙈기, -때기

2014-12-16

논밭의 넓이를 나타내는 단위로 ‘마지기’라는 것이 있는데, ‘한 마지기’는 볍씨 한 말의 모나 씨앗을 심을 만한 넓이를 말합니다. ‘마지기’가 의존명사로 쓰일 때는 숫자 뒤에 띄어서 쓰도록 돼 있어서 ‘논 다섯 마지기’와 같이 말하게 됩니다.

그런데 ‘마지기’라는 말 앞에 ‘논’을 붙여서 쓰는 ‘논마지기’라는 말은 ‘얼마 되지 아니한 면적의 논’을 가리키고, 이와 비슷한 뜻을 가진 말로 ‘논뙈기’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얼마 안 되는 자그마한 논’이라는 뜻입니다.

‘논뙈기’에서 ‘뙈기’라는 말은 ‘경계를 지어 놓은 논밭의 구획’을 말하는데요, 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쓰여서 일정하게 경계를 지은 논밭의 구획을 세는 단위로도 사용됩니다.

‘논뙈기’와 마찬가지로 ‘얼마 안 되는 자그마한 밭’은 ‘밭뙈기’라고 하고, ‘얼마 안 되는 자그마한 땅’은 ‘땅뙈기’라고 하지요. 이 ‘뙈기’는 ‘ㄸ’에 모음 ‘ㅙ’를 붙여서 쓰는데, 이것을 잘못 발음하면 ‘때기’처럼 쓸 수도 있게 됩니다.

그러나 ‘-때기’는 이와는 전혀 다르게 ‘비하’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이불때기’는 ‘이불’을 속되게 이르는 말이고, ‘송판때기’는 ‘송판’을 속되게 이르는 말이니까 정확하게 사용하시도록 유의하셔야겠습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