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한국어배우기

절치부심, 와신상담

2015-04-07

운동경기에서든 정치판에서든 패배를 맛본 후에는 대개 몹시 분해하면서 다음 기회를 노리게 됩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쓸 수 있는 한자성어로 ‘절치부심(切齒腐心)’이라는 말이 있는데, 이것은 ‘끊을 절(切)’, ‘이 치(齒)’, ‘썩을 부(腐)’, ‘마음 심(心)’자를 써서 ‘몹시 분하여 이를 갈며 속을 썩임’이라는 뜻입니다.

그리고 이와 비슷한 상황에서 쓸 수 있는 한자성어로 ‘와신상담(臥薪嘗膽)’이라는 것도 있지요. 이것은 불편한 섶에 몸을 눕히고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해서 온갖 어려움과 괴로움을 참고 견디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이것은 ≪사기≫에 나오는 이야기로, 중국 춘추 시대 오나라의 왕 부차(夫差)가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하여 장작더미 위에서 잠을 자며 월나라의 왕 구천(句踐)에게 복수할 것을 맹세하였고, 그에게 패배한 월나라의 왕 구천이 쓸개를 핥으면서 복수를 다짐한 데서 나온 말입니다.

장작더미 위에 누우면 온몸이 배겨서 잠을 제대로 잘 수 없는데, 이와 같은 악조건을 견디면서 복수를 맹세했던 것입니다. 원래 ‘장작(長斫)’은 ‘통나무를 길쭉하게 잘라서 쪼갠 땔나무’를 가리키는데, 그중에서도 ‘바싹 마르지 않은 장작’을 ‘생장작’ 또는 ‘날장작’이라고도 하고, 이와 비슷한 ‘희나리’는 ‘채 마르지 않은 장작’을 뜻합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