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바른 우리말입니다.
잔꾀를 부리다가 결국 자기 일을 그르치는 경우에 보통 ‘자기 발등을 찍는다’고 말합니다. ‘자기 발등을 찍는 것’과 비슷한 뜻으로 쓸 수 있는 한자어로 ‘자충수(自充手)’라는 표현이 있습니다. 원래 ‘자충수’는 바둑에서 사용하는 말인데, ‘자충(自充)’은 ‘자기가 놓은 돌로 자기의 수를 줄이는 일’이고, ‘수(手)’는 ‘바둑이나 장기 등을 두는 기술’을 가리킵니다. 그래서 ‘자충수’란 ‘자기가 놓은 돌을 자기가 죽이는 수’를 가리키는 것이지요.
‘자충수’는 바둑에서 나온 말이기는 하지만 넓은 뜻으로 보면, 자신을 이롭게 하려던 말이나 행동이 결국에 가서는 자기 자신에게 불리한 결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을 이르고 있고, 보통 ‘자충수를 두다’ 같은 식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자기 스스로 곤란을 겪게 만드는 것과 관련된 한자성어로 ‘자승자박’과 ‘자업자득’ 같은 것도 있습니다. ‘자승자박(自繩自縛)’은 ‘자기의 줄로 자기 몸을 옭아 묶는다는 뜻으로, 자기가 한 말과 행동에 자기 자신이 옭혀서 곤란하게 되는 것’을 뜻합니다.
그리고 ‘자업자득(自業自得)’은 ‘자기가 저지른 일의 결과를 자기가 받는 것’을 뜻하는데, 예를 들어 ‘그 사람의 소비 행태로 보건대, 카드 빚에 허덕이는 것은 다 자업자득이다.’ 이렇게 사용할 수 있겠습니다.
지금까지 아나운서 이영호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