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한국어배우기

마디

2016-12-19

안녕하십니까? 바른 우리말입니다.

우리 고유어 표현인 ‘마디’는 ‘손가락 마디’와 같이 ‘뼈와 뼈가 맞닿은 부분’을 뜻하기도 하고 ‘실의 마디를 풀다’처럼 ‘실, 줄 따위가 엉키거나 맺힌 부분’을 뜻하기도 합니다.

그 외에도 ‘말이나 글 또는 노래 같은 것의 한 도막’을 뜻할 때도 있는데요, 이때는 ‘소절(小節)’이라는 한자어와 같은 뜻으로 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그 사람과 몇 마디 이야기를 건넸을 뿐이다.’ 이렇게 말할 수 있지요.

그런데 ‘마디’ 앞에 ‘한’이라는 표현을 붙여서 쓸 때와 띄어서 쓸 때는 서로 의미가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숫자와 단위 명사는 띄어서 쓰도록 돼 있는데, ‘한’과 ‘마디’를 띄어서 쓰는 것은 ‘1시간 동안 딱 한 마디밖에 안 했다.’와 같이 실제로 말을 몇 마디 했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셀 때 사용합니다.

반면에 ‘한마디’를 모두 붙여서 쓰면 ‘짧은 말이나 간단한 말’이라는 뜻의 합성어가 됩니다. 예를 들어 ‘한마디 말도 없이 떠났다.’, ‘그는 내 요구를 한마디로 거절했다.’와 같은 경우에는 몇 마디로 말했는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고 ‘짧은 말’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띄어쓰기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표현들은 정확하게 구별해서 쓰셔야겠습니다.

지금까지 아나운서 이영호였습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