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대통령 후보 경선 2차 정책토론회 후보자별 쟁점별 입장(2007년 6월8일, 부산 벡스코)
"3불(不)정책"(대입본고사, 고교등급제, 기여입학제 등 금지)과 관련한 문제
고진화
현재의 교육시스템을 갖고 우리 아이들을 어디에 내놓을 수가 없다. 평생 학습체제로 가야 한다. 입시제도 자체를 폐지해야 한다
박근혜
대학입시를 완전 자율화하고 수능시험 대신 표준화된 학력테스트를 여러번 실시, 본고사 없이 대학이 학생을 선발할 수 있도록 하겠다
원희룡
교육 문제의 근본은 소수 명문대 중심의 학벌사회다. 서울대 학부를 폐지해 대학원 중심으로 전환하고 국립대학은 통합해 단일 학적을 부여하겠다.
이명박
입시에 관한 권한을 과감하게 지방과 대학에 넘기고 초.중.고교에도 자율경영체제를 도입해 경쟁하는 환경을 만들겠다
홍준표
대입에서 수능성적은 50%만 반영하고 나머지는 봉사활동, 논술 등을 적용시키도록 대학 자율성을 보장하는 등 학생선발권을 대학에 맡겨야 한다. 미국의 하버드, 영국 옥스퍼드와 케임브리지 등 세계 명문대 분교를 한국에 유치할 수 있도록 교육개방을 해야 한다.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대책
고진화
사교육비 상한제 제안. 교육문제는 근본적으로 입시문제와 연계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입시제도 폐지 및 교육제도 근본 변화를 통해) 사교육비를 획기적으로 줄이겠다.
박근혜
학교 교육을 살려서 사교육비 문제를 반드시 해결하고, 영어교육 만큼은 국가가 책임지고 해결하겠다. 과학기술 교육과 이공계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며 "저소득층 영유아의 조기교육을 지원하는 드림스타트 운동을 펴고, 저소득층 자녀에게 초등학교부터 대학까지 장학금을 지원하겠다.
이명박
교육부를 확 바꾸고, 초.중.고교에도 자율경영체제를 도입해 경쟁하는 환경을 만들겠다. 해외 어학연수를 줄이고 과도한 사교육비를 줄이기 위해서라도 공교육에서 영어교육은 강화돼야 한다. 군복무 기간에라도 인터넷을 통해 영어교육을 실시하도록 하겠다.
고 말했다.
복지 재정
박근혜
복지에서 8조원, 교육쪽에서 한 1조원 정도가 돼 (재원 소요가) 총 9조원 정도가 된다. 큰 정부의 방만한 예산을 알뜰하게 하면 9조원 정도를 줄일 수 있다. 잠재적 경제성장률 5%에 리더십이 가져올 2%가 추가되면 1%당 세수 2조원이 늘어나는 만큼 총 4조원의 세수가 늘어 재원을 감당할 수 있다.
이명박
노 대통령이 감세하면서 어떻게 복지를 하느냐고 비판했지만, 나는 감세해서 복지를 줄이자는 게 아니라 경제를 살려 재정을 확보해 재정 수요를 확보하자는 것이다.
홍준표
복지는 사회안전망구축과 빈곤탈출 측면에서 저소득층, 사회적 약자, 장애인에 대해 자활능력을 갖도록 국가가 보살펴 주고, 교육기회를 풍부하게 무상으로 제공해야 한다. 서민들과 장애인들의 주거복지 문제는 반값아파트와 성인 1인1주택제, 토지소유상한제로 꿈을 이룰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