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8월27일 ~ 29일
제1차 회담
합의문 없이 의장 요약성명을 통해 차기 회담 개최에 합의.
2004년
2월25일 ~ 28일
제2차 회담
7개항 의장성명 채택(6자회담 최초의 합의문건 )
◆ 합의사항
△ 한반도 비핵화
△ 참가국의 평화적 공존
△ 핵문제의 협의를 통한 평화적 해결
△ 핵문제와 관련, 반드시 ‘상호 조율된 조치'를 취할 것
△ 2004년 2/4분기 내 제3차 회담 전체회의 개최
△ 전체회의 준비를 위한 실무그룹회의 구성
6월 23일-25일
제3차 회담
8개항 의장성명 채택(공동보도문 채택 실패)
◆ 합의사항
△ 한반도 비핵화 목표에 대한 의지 재확인
△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첫 단계 조치로 핵동결의 범위 · 기간 · 검증방법과 상응조치 등을 조속히 구체화할 것
△ '말 대 말'과 '행동 대 행동' 원칙
△ 2004년 9월말 이전 제4차 회담 개최
2005년
7월26일 ~8월7일
제4차 1단계 회담
마라톤회담에도 불구하고 공동성명 채택 실패
의장 성명 통해 3주간 휴회 결정.
9월13일 ~ 19일
제4차 2단계 회담
6개항 공동성명 채택(9.19 공동성명)
◆ 합의사항
△ 한반도 비핵화 재확인 - 북한 핵포기, 미국 한반도 핵무기 및 북한 공격 의사 부재 확인, 한국 핵무기 부재 확인
△ 북미, 북일 관계 정상화
△ 북한에 대한 에너지 제공
△ 동북아 안정을 위한 공동 노력 및 한반도 안보 별도 포럼 개최
△ 말 대 말, 행동 대 행동 원칙에 따른 조율된 조치
△ 2005년 11월초 5차 회담 개최
9월 16일
미 재무부 마카오 소재 방코 델타 아시아(BDA) 북한 돈세탁 등 불법자금 거래 혐의로 블랙리스트 등재(금융 제재).
11월9일 ~ 11일
제5차 1단계 회담
공동성명 이행 논의 원칙 담은 의장성명 채택
◆ 합의사항
△ 9.19 공동성명 원칙 및 목표 재확인
△ 공동성명 이행방안 논의의 원칙
- 신뢰구축을 통한 공동성명 이행
-적시에 조율된 방식으로 이런 과정을 시작, 종결
- 균형된 이익 및 협력을 통한 윈윈의 결과를 달성할 의지 확인
2006년
10월9일
북한 핵실험 성공 발표
12월18일 ~ 22일
제5차 2단계 회담
BDA문제 실무회담까지 열었으나 사실상 회담 결렬. 4개항 의장성명 채택
◆ 합의사항
△ 비핵화 평화적 달성 의지 재확인
△ 9.19 공동성명 성실 이행 원칙 재확인 및 '조율된 조치'에 의견 일치
△ 이행 및 초기 단계 조치에 대한 유용한 협의
△ 가장 빠른 기회에 차기 회담 개최
2007년
1월16일 ~ 18일
북미, 베를린 양자회담 개최해 6자회담 재개 방안 협의
2월8일 ~ 13일
제5차 3단계 회담
북한의 핵 폐기를 향한 초기 이행조치와 이에 대한 나머지 5개 나라의 상응조치가 구체적으로 명시된 합의문 채택.(2.13합의/60일 이내 이행)
◆ 합의사항
△ 북한의 초기조치 이행
- 영변 핵시설 폐쇄 봉인
- 모든 핵 프로그램 목록 협의
- 모든 핵 프로그램 신고
- 모든 현존하는 핵시설의 불능화
△ 나머지 5개국 상응조치
- 북미 수교 위한 양자대화 개시, 미국의 북한 테러지원국 지정 해제 과정 개시, 대적성국 교역법 적용 종료 위한 과정 진전
- 북일 관계정상화 위한 양자대화 개시
- 북한에 대한 경제·에너지·인도적 지원 협력
- 초기 에너지 지원 중유 5만톤 제공
- 핵 시설 불능화 조치시 중유 95만 톤 지원
△ 5개 워킹그룹 설치
- 한반도 비핵화
- 미북 관계정상화
- 일북 관계정상화
- 경제 및 에너지 협력
- 동북아 평화.안보 체제 (워킹 그룹 회의는 30일 이내 개최)
△ 장관급 회담 등
- 9.19 공동성명의 이행 확인하고 동북아 안보협력 증진방안 모색을 위한 장관급회담 신속 개최
- 적절한 별도 포럼에서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체제에 관한 협상
△2007년 3월19일 차기회담 개최
3월19일 ~ 22일
6차회담
BDA 문제로 구체적 합의 사항은 없고, 원칙적인 내용만 재확인하는데 그쳐 결렬.
6월14일
BDA문제 해결 - 마카오, BDA 북한 자금 2천500만달러 중 2천만달러 이체완료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