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초점] 탈레반 한국인 인질 전원 석방 조건은?

2007-08-28

뉴스

한국 정부와 탈레반 측이 밝힌 내용을 종합하면 한국군 연내 철수, 한국인 민간인 철수, 기독교 선교 중지 등 세 가지다. 이를 다시 정리하면 철군과 선교중지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한국군 연내 철수

공병부대인 다산부대와 의무부대인 동의부대를 말한다.
탈레반은 납치사건 초기에 철군을 요구했었다. 하지만 수감자 석방을 강력하게 요구하면서 한국군 철수에 대해서는 목소리를 크게 높이지 않았다.
한국 측도 사건 초기에 이미 연내 철군 계획이 있음을 밝힌 바 있다.

기독교 선교중지

탈레반 측에서는 석방 조건으로 철군 외에도 한국인 민간인 철수와 선교중지 등 두 가지를 거론한다.
한국인 민간인이란 선교사를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고, 따라서 이는 곧 선교중지로 요약된다.
한국 정부는 아프가니스탄을 여행금지국으로 지정함으로써 아프간에서 활동하고 있는 비정부기구(NGO) 철수와 추가 파견 금지 조치를 사실상 취한 셈이다. 실제로 정부는 선교를 위해 아프가니스탄에 나가있는 NGO는 모두 철수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물론 NGO나 선교활동은 순수 민간활동으로 완전히 막을 수는 없으나 정부가 할 수 있는 조치는 다 했다. 정부는 향후 종교계와 긴밀히 협의한다는 방침이다.

다른 석방 조건은 없나?

◆탈레반 수감자 석방
한국 정부 권한 밖이라는 점을 설득했고, 탈레반도 이해했다. 아프간 정부가 석방요구를 수용하기 어렵고, 한국 정부가 아프간 정부를 설득하기도 어렵다는 점을 납치단체 측이 받아들였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

◆그외 다른 조건
"(철군과 선교중지) 두 가지가 공식적으로 합의된 내용이다. 다른 부분은 논의된 바 없다"는 것이 정부의 공식적인 설명이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