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수지 (經常收支 balance of current account)
한 국가의 대외거래상태를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
무역수지, 무역외수지, 이전수지를 합해 산출한다.
보통 국제수지의 적자와 흑자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경상수지를 기준으로 한다.
경상수지에 자본수지를 합한 것은 종합수지, 자본수지중 장기자본수지와 경상수지를 합한 것은 기초수지라고 한다.
무역수지 (貿易收支·balance of trade)
일정기간을 통해 본 한 나라의 총수입과 총수출액 간의 차이. 재화 및 용역의 수출입을 모두 포함해서 계산한다. 미국의 달러화, 영국의 파운드화 등 특정 국가의 화폐단위를 이용해서 표시한다.
무역외수지貿易外收支 balance of invisible trade)
무형의 무역으로 운임·보험·용선료·여행비·투자수익·특허권 사용료 등 각종 서비스의 거래에서 발생하는 수입액과 지급액의 차액을 나타낸다.
이전수지(移轉收支)
내국인과 외국인사이에 무상으로 주고 받는 거래를 나타내는 것, 즉 대가가 따르지 않는 국제거래를 말한다.
소득세 등의 세금이나 배상, 증여, 이민 등에 의해 채권ㆍ채무관계를 남기지 않고 이루어지는 재화, 서비스, 화폐의 일방적인 공여를 포함하는 국제거래.
이전거래는 민간은 물론 정부와 국제기관 사이에서도 이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