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숙 인수위원장 임명(2007.12.25)을 계기로 '이명박 정권'의 밑그림을 그릴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윤곽이 떠오르고 있다.
인수위원회의 활동과 역할
대통령 취임식 전날인 2008년 2월24일까지 활동한다.
활동 영역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정부 부처와 청와대의 주요 현안 및 업무를 인수인계 받아 공백없이 차기 정권이 출범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
(2)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가 향후 5년 간 국정을 이끌어갈 청사진을 그리는 역할.
인수위원회의 구성
위원장 - 부위원장 - 7개 분과·1개 특위로 구성된다.
◆국가경쟁력강화특별위원회
이번 인수위의 핵심이다.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국가적 어젠다를 다루게 되며 이 당선자의 핵심 공약인 한반도 대운하 프로젝트와 과학비즈니스 도시 건설, 최우선 과제인 정부조직 및 공기업 재편작업, 외국인투자 활성화 대책 등을 주로 다룬다.
6개 TF(태스크포스) 팀이 설치된다.
△정부혁신 및 규제개혁
△투자유치
△기후변화 및 에너지대책
△한반도 대운하
△새만금
△과학비즈니스벨트
◆7개 분과위원회
각 분과위원회는 업무를 총괄하는 간사와 실무위원들로 구성되며 7개 분과위원회 업무를 총괄 조정하는 총괄간사가 있다.
△기획조정: 인수위 전체 업무 총괄조정, 국정과제 설정, 국정목표 및 세부 로드맵 수립
△정무: 청와대와 총리실, 감사원, 국가정보원, 중앙인사위 등의 업무 파악 및 인수인계 준비, 대통령 비서실 문제점 파악, 청와대의 기능과 역할을 중장기 국가경영전략에 맞게 재편
△외교통일안보: 통일부, 국방부, 외교통상부 등의 업무 파악 및 인수인계 준비, 대북정책, 한미관계 기타 국제관계 검토
△행정: 행정자치부와 법무부, 법제처, 국정홍보처, 검찰청, 경찰청 등의 업무 파악 및 인수인계준비, 행정조직 및 사법체계 개편 문제 중점 검토
△경제1: 재경부, 예산처, 금감위, 공정위,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등의 업무 파악 및 인수인계 준비, 성장 및투자 관련 업무 중점 검토(예상)
△경제2: 산자부, 건교부, 과기부, 농림부, 정통부, 해양부 등의 업무 파악 및 인수인계 준비, 분배 관련 업무 중점 검토(예상)
△사회교육문화: 교육부, 복지부, 노동부, 문화부, 환경부, 여성부, 보훈처 등의 업무 파악 및 인수인계 준비
◆기타 기구
△당선자 비서실
△당선자 자문위원단
△취임준비위원회
△국민성공정책제안센터
△대변인
△행정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