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정부조직개편 최종안은 현행 18부4처를 13부2처로 통폐합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통폐합의 원칙은 유사·중복 기능을 통합하는 대부처대국주의, 효율성을 중시하는 실용주의.
작고 강한 일하는 정부를 표방한다.
13부 2처
◆ 13부
△기획재정부(재정경제부+기획예산처)
△인재과학부(교육부+과학기술부 일부)
△외교통일부 (외교통상부 + 통일부)
△법무부
△국방부
△행정안전부(행정자치부 개칭)
△문화부(문화관광부+정통부 일부 기능+국정홍보처)
△농수산식품부(농림부+해양수산부의 수산부문)
△지식경제부(산업자원부 + 정보통신부 일부 + 과학기술부 일부)
△보건복지여성부(보건복지부+여성가족부)
△환경부
△노동부
△국토해양부(건설교통부 + 해양수산부의 해운기능)
◆2처
△보훈처
△법제처
◆특임장관 신설
13부2처가 되면 국무위원이 13명이 된다. 현재 헌법 규정은 국무위원을 15명 이상 두도록 하고 있다. 그러므로 무임소장관으로 일상적인 국정에는 관여하지 않고 투자유치와 해외자원개발 등 핵심 국책과제를 수행하는 특임장관 직이 국무총리 산하에 신설된다.
◆장관급 위원회
△공정거래위원회
△금융위원회(금융감독위원회 + 재정경재부의 금융정책 부문)
◆각종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신설 = 정보통신부의 통신규제 집행 및 통신서비스 정책과 방송위원회의 방송 규제집행 및 방송정책을 통합해 대통령 직속 `방송통신위원회'로 일원화.
△ 치기한이 도래한 5개 위원회 폐지.
·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
·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 진상규명위원회
· 군의문사 진상규명위원회
·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조사위원회
폐지 또는 조정되는 부처
△통일부 = 폐지, 주요 기능은 외교통일부로 통합
△해양수산부 = 수산부문은 농수산식품부, 해운 부문은 국토해양부로 분산 통합
△정보통신부 = 업무에 따라 지식경제부, 문화부로 분산 통합
△여성부 = 보건복지부와 통합
△과학기술부 = 업무에 따라 인재과학부와 지식경제부로 분산 통합
△기획예산처 = 기획재정부로 통합
△국정홍보처 = 폐지, 일부 기능은 문화관광홍보부로 통합
공무원 수 감축
정부조직 개편에 따라 공무원 감축도 불가피하다.
인수위가 밝힌 감축 규모는 7천명 선. 전체 일반공무원이 13만여 명이므로 5.3%가 줄어드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