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풀이] 영어 공교육 프로젝트 주요 내용

2008-01-30

뉴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영어공교육 완성 프로젝트 실천 방안'을 발표하고(2008.1.29), 30일 관련 공청회를 개최했다.

배경

영어 격차가 빈부 격차로 이어지고, 빈부격차는 다시 영어격차를 만들어내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겠다는 것.
인수위가 내건 목표는 "고등학교만 졸업해도 영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하겠다"는 것.
이는 또한 대입 수학능력시험에서 영어를 제외하는 대신 국가영어능력평가제를 도입한다는 방침과도 맞닿아 있다.
즉 영어평가가 사교육 광풍을 불러올 것이라는 우려를 불러일으킨 것과 관련, 이를 공교육에 수렴한다는 차원이다.

주요 내용

△영어교사 수급 대책 △영어교육과정 개편 △영어환경 구축 등 크게 3가지를 축으로 하고 있다.

◆영어교사 수급대책
△영어전용교사 충원
2013년까지 2만3천 명 신규 채용.
△영어전용교사 자격제도
국내외 영어교육과정 이수자, 영어권 국가 석사학위 이상 취득자, 교사자격증 소지자, 전직 외교관, 상사 주재원 등을 구술면접 통해 선발해 6개월 이내의 연수로 교사 자질 함양한 다음 계약직 교육공무원으로 채용.
△현직영어교사 심화학습 프로그램 및 보조교사
매년 현직 영어교사 3,000명 심화 연수 - 2009년부터 매년 1,500 명 6개월 집중 연수(국내 5개월, 해외 1개월)
대학생, 주부, 해외교포 등 '영어전용 보조교사'로 활용
△원어민 보조교사 지원체제 구축
배치 전 연수부터 배치 후 지원까지 체계적으로 관리

◆영어 교육과정 개편
△ 영어로 하는 영어수업 확대
2010년 초등학교 3~4학년 매주 1시간에서 3시간으로, 5~6학년의 경우 매주 2시간에서 3시간으로 확대
2011년 초등학교 3~6학년이 모든 영어수업을 영어로 실시
2010년부터 중3, 고1의 영어로 하는 영어 수업 본격화
2012년 중·고교 모든 회화 중심 수업 영어로 실시
△한국형 국가 영어능력 평가시험 도입
2013학년도부터는 네 평가영역 중 듣기·읽기 영역만 평가
2015학년도 대학입시부터 듣기·읽기·쓰기·말하기 등 네 영역 모두 평가

◆영어 친화적 교육환경 구축
△학교 밖 영어교육 기회 확대
시·군·구 어린이 영어도서관 운영 지원
△정규수업 외의 재량활동 시간과 방과후 학교, 방학 중의 영어프로그램 확대
△영어로 수업하는 문화예술강사 등에 대한 금전적 인센티브 제공
△농·산·어촌 지역과 대도시 저소득층 학생에 대한 바우처 지원제도 도입
△교육방송(EBS)의 영어 교육방송과 인터넷 포털에서의 디엠비(DMB), 엠피3(MP3)용 영어학습 콘텐츠 개발·보급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