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용어] 국가보안법

2008-03-04

뉴스

국가의 안전을 위태롭게 하는 반국가활동을 규제함으로써 국가의 안전과 국민의 생존 및 자유를 확보함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국가보안법 제1조 1항)
현행 국가보안법은 1980년 12월 31일 법률 제3318호로 전문개정된 것을 1997년 12월 13일 법률 제5454호로 5차 개정한 것이다.
전문 4장 25조 및 부칙으로 구성돼 있다.

약사

△1948년
국가보안법 제정
△1958년
신국가보안업 제정
△1960년
4.19 혁명 직후 악법으로 지목 폐지됐다가 대폭 수정 완화된 형태로 다시 제정
△1961년
반공법 제정, 국보법 개정·강화(반공법 우선 적용)
△1980년
국회 해산된 상태에서 국보위 입법회의가 전문 개정 법안 채택(현행 국보법의 모체/반공법을 폐지해 국보법에 통합)
△1997
국보법 제5차 개정(현행법)

국가보안법의 처벌 대상

반국가단체 구성, 목적 수행, 자진지원, 금품수수, 잠입·탈출, 찬양·고무, 회합·통신, 편의제공, 불고지, 특수직무유기, 무고·날조 등

존폐논란

◆문제점

△확대해석 여지
북한 체제에 대한 고무·찬양죄, 불고지죄 등 확대해석 여지가 많은 처벌조항이 여럿 있어 항상 논란이 돼 왔다.
△정치적 악용 가능성
1970년대에는 정치범 사건에 종종 적용돼 악용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시대 상황
1988년 남북교류를 촉구하는 7.7선언이 발표됐고, 이어 1990년에는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법률'이 제정돼(노태우 대통령시대) 정부 승인 아래 북한 왕래가 가능해졌다. 그러므로 잠입 탈출 등의 죄를 묻는 국보법 일부 조항은 다른 법률과 충돌한다.

◆논란
남북 교류시대에 부합하지 않는 내용, 사상과 언론의 자유를 속박하는 일부 조항 등에 대한 문제가 제기돼 개정 또는 폐지 여론이 있다.
또 지난 참여정부(2003.2 ~ 2008.2)에서는 거의 적용되지 않아 사실상 사문화됐으므로 폐지해도 문제가 없다는 주장도 강하게 제기됐다.
그러나 북한 핵 실험 등 안보 불안이 여전한 상황에서 국보법이 꼭 필요하다는 보수층의 개정 또는 폐지 반대 여론도 거세다.
이에 따라 1997년 5차 개정 이후 국보법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