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17일 워싱턴 포스트와 인터뷰에서 서울과 평양에 남북 연락사무소를 개설하자고 제안하는 등 대북정책에 대한 주요 입장을 밝혔다.(2008.4.17 워싱턴)
남북 연락사무소 개설 제안
◆제안 내용
△"서울과 평양에 연락사무소를 설치하는 것을 포함, 남북한 간에 고위급 외교채널을 구축하는 방안을 제안할 것이다."
◆연락사무소의 지위
△"양측이 협의할 사안이기는 하지만 남북한 최고 책임자의 말을 직접 전할 수 있을 정도의 위치에 있는 사람이 돼야 할 것이다."
◆제안 이유
△"과거 방식으로는 안되기 때문에 북한에 처음 상설적인 대화를 제안하는 것이다."
대북 정책 일반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 문제
△"본격 경협 문제는 비핵화 진전과 연계되지만, 북한 주민들의 식량 위기는 인도적 지원이 되기 때문에 본격적인 경제협력과 구분돼야 한다."
△"식량지원은 인도적 문제로 다뤄져야 한다."
◆북한의 최근 도발적 언동에 대해
△"새 정부를 파악하기 위한 시도이기도 했겠지만 4월9일 총선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전략으로 본다."
◆남북관계 경색에 대해
△"과거 정권은 남북 관계를 6자회담을 통한 핵 해결보다 중요시 했으나 새 정부는 한반도 핵포기에 중점을 두고 6자회담 협상과 보조를 맞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취임 후 50일이 지난 시점에서 북한은 남측의 과거 10년 간 정권과는 다른 새로운 정권과 접촉하고 조정하는 기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보인다. 조정기간 동안 다소 대화가 끊겨 있을 수 있고 서로에게 강경해질 수 있으나 이 시기에 남북한이 새로운 자세로 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북한의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UEP) 및 대 시리아 핵 협력 의혹에 대해
△"북한이 어느정도 인정했는지 최종적으로 밝혀진 것은 없으나 어느 정도 간접 시인했을 것으로 본다."
△"북한의 특수성으로 봐 그 정도가 되면 시인한 것으로 보고 한단계 넘어가는 것이 북핵 문제를 해결하는 한 방법이다."
△"더욱 중요한 것은 북한이 더 이상 핵확산을 하지 않는 것이다."
◆남북 통일에 대해
△"통일이라는 것이 예정보다 시간이 좀 걸릴 것이라고 생각하나 아무도 알 수 없는 것"이라며 "우리는 어느 때 무슨 일이 있을지 모르니까 항상 준비를 해야 하며, 그래서 국제관계도 항상 좋게 하고자 노력한다."
△"북한이 빠른 시간내 갑자기 붕괴할 것이라고 가정하지 않는다."
△"중국은 북한 등 이웃나라와의 영토문제에 매우 조심스러운 정책을 쓰기 때문에 쉽게 외국 영토를 점령한다든가 하는 일은 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