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서방 선진 7개국)에 러시아가 합류한 모임.
G7 멤버는 독일, 미국, 영국, 이탈리아, 일본, 캐나다, 프랑스였다.
G8의 유래
오일 쇼크를 겪은 직후인 1975년 세계경제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긴급히 소집된 6개국 정상회담에서 유래했다.
당시 참가국은 현재 G8 회원국에서 러시아와 캐나다를 제외한 6개국.
이듬해 캐나다가 합류하면서 G7으로 자리잡았다.
이후 냉전 종식으로 세계 질서가 바뀜에 따라 러시아의 참여 필요성이 제기돼 G7+1 형태로 진행되다가 1997년 러시아를 정회원으로 받아들여 현재의 G8 형태를 갖췄다.
G8 정상회의
매년 한 차례 열린다.
정상회의 외에도 세계 경제의 방향과 주요 현안을 토의하기 위해 회원국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이 1년에 두세차례씩 회동한다.
G8 확대 정상회의
G8 정상회의에 다수 비회원국 정상들이 초청돼 회동하는 것.
사안에 따라 매번 다른 나라들이 초청된다.
크게 G8에 속하지는 않지만 정치·경제적으로 영향력이 있는 각 지역의 주요국가 정상이 초청되는 경우와 세계 최빈국 정상들이 초청되는 경우 등 두 갈래.
G8 정상회의와 나란히 최빈국 8개국 정상회의가 열리기도 한다. G8이 부자나라 정상회의라 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는 것으로 부국의 책임을 요구하는 것.
이에 따라 최근 G8의 주요 의제에는 빈국에 대한 지원 논의가 빠지지 않는다.
기능
원래 목적은 세계 경제 방향과 그에 따른 정책 협조.
지금도 경제 문제가 핵심이다.
그러나 오늘날 경제가 정치 외교 안보를 벗어나 논의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는 점에서 경제 이외의 분야로도 논의의 폭이 넓어지는 경향이다.
테러, 마약, 대량살상무기 확산, 빈국의 식량문제 등도 주요 의제가 된다.
그러나 어떤 합의가 이뤄지더라도 구속력이 없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