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풀이] 씨앤케이 주가조작사건

2012-01-19

뉴스

검찰이 18일 씨앤케이(CNK)인터내셔널 주가조작 의혹과 관련, 금융당국의 고발장을 접수받아 수사에 착수했다.(2012.1.18)

씨앤케이 주가조작 사건

다이아몬드 개발업체인 CNK가 2010년 말 카메룬에 막대한 매장량을 가진 광산 개발권을 획득했다는 소식을 전해지면서 주가가 폭등했던 것이 주가조작에 의한 것이 이 사건의 핵심이다.

◆사건 개요

2010년 12월17일 외교통상부가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내용은 CNK인터네셔널의 관계사인 CNK마이닝이 카메룬에서 추정 매장량 4억2천만 캐럿의 다이아몬드 광산 개발권을 획득했다는 것.
그동안 CNK가 카메룬에서 다이아몬드 광상을 발견했다는 보도가 간간이 나오기는 했다.
그러나 외교부 보도자료로 구체적인 매장량까지 적시됨으로써 정부가 사업성을 공인한 셈이 됐다.
당연히 주가는 폭등했다.
보도자료를 내기 전날(16일) 3천400원대였던 주가는 2011년 1월11일 장중 최고가가 1만8천원대로 5배 가량 치솟았다.

◆의혹

그러나 곧 의혹도 제기됐다.
이 시기에 CNK와 임원 일부가 주식을 처분, 수십억원의 이익을 봤다는 것이다.
외교부가 발표한 추정 매장량에 대해서도 "근거가 없다"는 말과 함께 "외교부가 정확하게 확인하지 않고 업체 홍보를 했다"는 비판이 나왔다.
의혹이 꼬리를 물자 2011년 6월 외교부는 다시 "매장량은 카메룬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했다"는 취지의 보도 해명자료를 냈다.
이를 계기로 한동안 떨어졌던 이 업체 주가는 다시 상승했다.
정치권에는 정권 실세 개입 의혹이 나왔다.
특히 CNK가 2011년 8월 공개한 실사보고서에도 구체적 매장량은 들어가지 않는 등 논란이 확산되자 외교부와 국회는 각각 감사원에 감사를 청구했다.
감사원 감사 결과는 1월말 발표될 예정이다.

파장과 검찰 수사

그러나 감사원 감사 결과가 나오기도 전에 금융당국의 고발로 검찰이 수사에 나서게 되면서 사태는 빠르게 전개되고 있다.
증권선물위원회는 18일 미공개정보를 이용해 수백억 원대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로 오덕균 씨앤케이 대표 등 2명과 CNK를 검찰에 고발하고, 외교통상부 차관과 국무총리실장을 지낸 조중표 씨앤케이 전 고문 등 6명을 검찰에 통보키로 의결했다.
문제는 김은석 외교부 에너지자원대사, 조중표 전 국무총리실장 등 고위급 인사들이 거론되고 있고,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 등 이른바 '실세'에까지 의혹이 번지고 있다는 점.
김 대사는 친인척이 보도자료 배포, 즉 주가 급등 직전 CNK 주식에 거액의 투자를 해 막대한 이익을 챙겼다.
조 전 실장은 퇴직 후 CNK 고문으로 갔으며 2010년 12월 외교부의 보도자료가 나오기 전후 주식 거래를 통해 거액의 시세차익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박 전 차관은 고위급 대표단 단장으로 카메룬을 방문했을 때 "CNK를 격려ㆍ지원키 위해 왔다"고 발언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정치권으로부터 CNK의혹의 배후로 지목됐다.
외교부에서는 김 대사 외에 국장급 직원 등도 감사원 조사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외교부 직원 2∼3명이 더 연루됐을 것이란 말도 외교부 안팎에서 들린다.
여기에 총리실 고위직 연루설까지 나오고 박 전 차관의 역할에 대한 의혹 제기가 계속되면서 이번 사건이 '게이트'로 비화하는 것 아니냐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지금까지 알려진 사례 외에 그 정도의 거액을 투자한 공무원은 없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이는 조직적인 공모보다는 일부 인사들의 부적절한 행동일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