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경제] 작년 한국 경제성장률 세계 117위…2년새 60계단 추락

2013-09-04

뉴스

한국 경제성장률 급락…작년 경제성장률 2.0%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곤두박질치고 있다. 2년 만에 무려 60계단이나 떨어지며, 189개국 중 117위를 기록했다.
한국의 실질 GDP 성장률은 2010년 6.3%로 세계 57위였지만, 2011년에는 3.6%로 102위로 밀려났다. 작년에는 결국 2.0%까지 떨어져 2년 사이 60계단이나 추락했다. OECD 회원 34개국의 실질 GDP 성장률 추이에서도 한국은 지난 2010년 OECD내 2위로 최상위권을 차지했지만, 지난 2011년 8위, 지난해에는 10위로 하락했다.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과 과제
전문가들은 유로존 재정위기의 충격과 중국의 성장률 둔화로, 지난 2년간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크게 위축됐다고 분석했다.
글로벌 경기회복에 힘입어 올해 하반기부터는 회복세가 나타날 것이라는 전망이지만, 지나친 낙관론을 경계하는 분위기도 있다.
한국은행의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2.8%. 하지만, 실현 가능성에 대해 의문을 품는 전문가들의 시각들도 적지 않다.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중국의 경기둔화·일본의 아베노믹스 등 대외악재가 겹친데다 내수 역시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1000조에 이르는 가계부채도 걸림돌이다.

글로벌 경제 위기 속, 미-일 경제회복세…브릭스 고전
우리와 달리 미국과 일본은 글로벌 경제위기 속에서도 경제회복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성장률과 세계순위가 대폭 개선돼, OECD 국가 중 10위권 안에 진입하며 상승세를 보였다. 내전이 끝난 리비아는 지난 1년 동안 무려 2배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며 1위에 올랐고 시에라이온과 몽골, 니제르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유럽 주요 국가들의 성장률은 대체로 악화됐으며 브릭스 국가 역시 약세를 나타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