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etty Images Bank
사람의 몸을 위아래로 크게 나눠서 말할 때 한자어로는 ‘상체(上體)’와 ‘하체(下體)’ 또는 ‘상반신(上半身)’과 ‘하반신(下半身)’으로 나타내곤 합니다. 그 기준이 되는 곳은 바로 ‘허리’인데요, ‘상체’와 ‘상반신’은 ‘허리 위의 부분’을 가리키고, ‘하체’와 ‘하반신’은 ‘허리 아래의 부분’을 가리키지요.
그렇다면 이것을 우리 고유어 표현으로는 어떻게 말할까요?
우선 ‘허리의 윗부분’을 가리켜서 ‘웃도리’ 또는 ‘윗도리’라고 하는 것을 들을 수 있는데, 이 가운데 맞는 표현은 ‘윗도리’입니다. ‘윗도리’는 신체의 부분을 가리키기도 하지만 ‘위에 입는 옷’ 즉 ‘윗옷’을 뜻하기도 하지요.
이와 마찬가지로 ‘허리의 아랫부분’은 ‘아랫도리’라고 하고 ‘아래에 입는 옷’ 즉 ‘아래옷’을 뜻하기도 합니다. 여기서 주의하실 것은 ‘윗옷’에는 사이시옷을 쓰지만 ‘아래옷’에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윗도리’와 ‘아랫도리’처럼 위아래로 대립이 있는 경우에는 ‘웃-’이라는 접두사를 쓰지 않습니다.
참고로 ‘도리’라는 표현이 들어간 것으로 ‘무릎도리’ 같은 것도 있습니다. ‘무릎도리’는 ‘무릎의 바로 아랫부분’을 뜻하는데, 예를 들어 ‘겨울이 되면 무릎도리가 시려서 잠을 잘 수가 없다.’와 같이 말할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