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etty Images Bank
보관해 두었던 물건이나 자료를 아무리 찾아봐도 안 보이면 정말 답답합니다. 이렇게 구석구석 빈틈없이 다 찾아본다고 할 때 ‘샅샅이[삳싸시]’ 찾는다고 하는 것이 맞을까요? 아니면 ‘샅샅이[삳싸치]’ 찾는다고 하는 것이 맞을까요?
네, 이 경우에는 [삳싸치]라고 발음하는 것이 맞습니다.
우리말에는 구개음화 현상이 있는데, 받침 ‘ㄷ’이나 ‘ㅌ’ 뒤에 모음 ‘ㅣ’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가 오면 그것이 구개음인 ‘ㅈ’이나 ‘ㅊ’으로 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구’에 ‘ㄷ’ 받침이 있고 뒤에 ‘이’가 오면 [구디]로 발음하지 않고 [구지]로 발음하고, 또 ‘가’ 밑에 ‘ㅌ’ 받침이 있고 뒤에 ‘이’가 오면 [가티]로 발음하지 않고 [가치]로 발음하는 것이지요. 이처럼 ‘사’ 밑에 ‘ㅌ’ 받침이 있고 뒤에 ‘이’가 오는 것도 [삳싸시]가 아니라 [삳싸치]로 발음하는 것이지요.
참고로 ‘한 군데도 빼놓지 아니하고 갈 수 있는 곳은 모조리’라는 뜻의 부사는 ‘골골샅샅이’인데, ‘골골샅샅이 뒤지다’, ‘골골샅샅이 돌아다니다’와 같이 씁니다.
그리고 ‘하나하나마다’라는 뜻의 부사 역시 ‘낱낱이[난나시]’가 아니라 ‘낱낱이[난나치]’로 발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