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귀에 못이 박히다

2019-06-20

ⓒ Getty Images Bank

우리말에는 같은 말을 여러 번 듣는다는 뜻을 가진 관용구가 몇 가지 있습니다. ‘귀에 딱지가 앉다’와 ‘귀에 싹이 나다’ 같은 것이 있는데요, 예를 들어 ‘집에 오면 손부터 씻으라고 귀에 딱지가 앉도록 얘기했는데.’ 또는 ‘매일 똑같은 소리를 얼마나 많이 들었는지 귀에 싹이 나겠다.’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뜻을 가진 표현 가운데 ‘귀에 못이 박이다’와 ‘귀에 못이 박히다’가 모두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못이 박이다’와 ‘못이 박히다’ 중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


먼저 ‘박이다’는 ‘버릇이나 생각 또는 태도 같은 것이 깊이 배다’와 ‘손바닥이나 발바닥 같은 곳에 굳은살이 생기다’라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나는 아침에 일어나면 물을 마시는 습관이 몸에 박여 있다.’, ‘손에 굳은살이 박였다.’와 같이 쓸 수 있지요.


반면에 ‘박히다’는 ‘박다’의 피동사로, 어떤 것에 꽂히거나 집어넣어지는 것을 뜻합니다. ‘못이 벽에 박혔다.’ 또는 ‘옷들이 옷장 속에 아무렇게나 박혀 있다.’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같은 말을 여러 번 함으로써 못이 어떤 물체 안에 꽂히는 것과 같이 된다는 뜻으로 하는 말이므로 ‘귀에 못이 박히다’를 쓰는 것이 맞습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