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가면 뒤에 숨겨진 가수가 누구인지, _______.”

#헷갈리는 우리말 l 2025-08-02

재외동포를 위한 한국어 강좌

"가면 뒤에 숨겨진 가수가 누구인지, (      )."

'문제에 대한 답을 틀리지 않게 하다. <맞다>의 사동사' 는 어떻게 써야 맞을까요?

맞혀보세요/맞춰보세요

"가면 뒤에 숨겨진 가수가 누구인지, 맞혀보세요."

퀴즈나 문제의 정답은 맞추는 게 아니라 맞히는 겁니다. 이렇게 문제에 대한 답이 틀리지 않거나, 쏘거나 던져서 한 물체가 어떤 물체에 닿을 때는 '맞히다' 란 말을 써야 합니다. 
그런데 '맞히다' 를 쓸 자리에 '맞추다' 를 사용하는 경우를 봅니다. 이건 틀립니다. '맞추다' 는 비교 대상이 필요한데요. '대상끼리 서로 비교하다. 맞닿게 하다' 란 뜻의 맞추다는 둘 이상의 일정한 대상들을 나란히 놓고 비교해 살핀다는 말이기 때문입니다. '의견을 맞추다, 퍼즐을 맞추다' 처럼 말이지요.
'맞히다' 와 '맞추다' 를 혼동하는 건 발음 탓인 것 같습니다. '맞히다' 할 때 맞의 지읒 받침과 히의 히읗이 만나 발음은 '마-치다' 가 되는데요. 그러나 '맞추다' 와의 발음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맞히다' 와 '맞추다' 의 뜻과 구분, 잊지 마세요.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