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역사

2000년 남북 개성공단 합의

2018-07-19

한반도 리포트

ⓒ KBS

남북 화해, 협력 분위기가 진전돼 앞으로 남북 경협 논의가 본격화되면 개성공단 재개 논의가 우선적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남북 경협의 모델로 남북 간 상호 협력, 발전의 가능성을 보여준 개성공단! 그 발자취를 되돌아본다.


‘6.15 남북공동선언’ 직후 본격 추진

2000년 6월 분단 이후 첫 남북 정상회담이 열리고 상호 화해, 협력을 내용으로 하는 ‘6.15남북공동선언’이 발표됐다.

 그 해 8월 그 동안 남북경제협력사업을 추진해온 현대그룹과 북한이 북한 개성에 6,600만 평방미터 규모의 공단을 개발하기로 합의했고 2003년 6월, 부지 조성 공사에 착수했다.


수많은 기업들 개성공단 입주 희망

개성공단 개발이 본격화되자 수많은 한국의 중소기업들이 앞 다퉈 입주를 희망했다.

기업들로서 개성공단의 가장 큰 장점은 경제성이었다.

공장 부지의 초기 분양 가격은 한국의 1/20 수준이고 개성공단이 처음 가동한 2004년 북한 노동자들의 임금 수준은 월 70달러로 중국의 1/3에 불과했다.

서울에서 개성까지의 거리는 78km! 가까운 거리와 같은 언어 사용, 양질의 인력이 장점으로 작용하면서 2004년 당시 개성공단 입주 희망업체는 1천 500여 곳이었다.

그 중 23개 시범단지 입주 기업이 선정됐고 2004년 12월에 개성공단 첫 제품이 생산됐다.


개성공단 첫 시제품 이틀 만에 모두 팔려

남측의 자본과 기술, 북측의 토지와 인력이 결합해 개성공단에서 만들어진 1천여 점의 주방용품은 2004년 12월 15일 군사분계선을 넘어 서울의 백화점으로 납품됐다.

‘통일냄비’로 불린 개성공단의 첫 시제품은 이틀 만에 모두 팔려 개성공단 성공을 예고했다.

2005년 KT가 통신공급을 개시하고 2006년 한국전력이 10만kw 송전선을 연결하면서 인프라를 갖춘 개성공단은 입주기업 23곳이 완전 가동에 들어가는 등 본격적인 생산을 시작했다.


빠른 속도로 도약

23개 기업으로 시작한 개성공단은 2016년 133개 기업으로 입주 기업 수가 5배 이상 증가했고 2005년 1천 490만 달러였던 연간 생산액은 2015년 5억 달러를 돌파했다.

6000 명 정도였던 북측 근로자 수도 5만 2천여 명으로 늘었다. 개성공단 개발로 남측은 10년 간 32억 6000만 달러 북측은 3억 8,000만 달러 등 총 4조원 이상의 직접적 경제효과를 거뒀다. 남북경협의 성공적인 모델로 자리 잡아 가던 개성공단은 2016년 2월 폐쇄됐다. 개성공단의 중단 배경과 재개에 대한 희망에 대한 얘기는 다음 주에 이어진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