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역사

‘본관과 성’ 제도의 유래

2014-11-01

본관의 시조가 거주하던 지역이고 ‘성’은 그 혈족의 시조의 성이다.
오늘날 성과 본관은 우리나라 사람이면 누구나 가지고 있고 호적 등 기록에 등록하게 돼 있다. 이런 ‘본관과 성’ 제도가 언제부터 어떤 배경으로 시작됐는지 국민대학교 국사학과 박종기 교수와 함께 알아본다.

태조 왕건 후삼국 통일 전쟁 중 공로자에게 본관,성 부여한국에서 본관과 성을 부여하는 것이 활발히 이뤄진 시기는 고려 초 인 것으로 보인다.
태조 왕건은 후삼국 통일을 위한 전쟁 중에 공로를 세운 지방 호족들에게 본관과 성을 부여했다. 구체적인 사례가 안동 권씨, 안동 김씨, 안동 장씨 등이다.

신라 때 중국과 교류하면서 본관과 성 부여/p>
신라 때도 중국과 교류를 시작하면서 중국의 영향으로 진골 귀족 일부에게 본관과 성을 부여한 기록이 있다. 대체로 후삼국 시대에 본관과 성을 일부 호족들에게 부여한 것으로 기록돼 있다. 그러나 일반인들에게 폭 넓게 본관과 성이 주어진 시기는 고려 초기로 보고있다.

후삼국 통일 후 940년 확대 실시936년 태조 왕건이 후삼국을 통일한 후 940 년, 본관과 성을 부여하는 정책을 확대 실시했다.
서경에 보면 중국의 주나라 때 봉건 제후들에게 본관과 성을 부여해 세력을 강화한 기록이 있다. 또 당나라 때도 천하통일 후 기득권 문벌 세력들의 세력을 약화시키고 신흥 호족들의 세력을 강화해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으로 호족들에게 본관과 성을 부여했다고 한다. 왕건은 당나라를 모델로 삼았다는 분석도 있다.

과거제 시행과 함께 더욱 확대958 년 과거제 시행과 함께 본관과 성을 부여하는 제도가 더욱 확대됐다. 과거에 응시하려면 본관과 성이 등록돼 있어야 한다는 조항이 있기 때문이다.
성과 본관이 확정됨에 따라 신분 구별이 명확해지고 향소부곡 단위의 의무 사역도 확정돼 직업 등도 명확해졌다. 940 년에 시행된 전국군현제도 명칭 개정 작업도 이와 관련이 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