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사회

동포 참정권, 원칙적으로 부여해야

Write: 2004-11-25 00:00:00Update: 0000-00-00 00:00:00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 그리고 민주노동당의 통일외교통상위 소속 의원들은 재외동포 참정권 부여와 관련, `원칙적으로 부여해야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열린우리당 이화영 의원, 한나라당 홍준표 의원, 민주노동당 권영길 의원은 24일 제주에서 열린 `제3회 재외동포기자대회'에서 동포 참정권과 관련해 이같은 입장을 밝혔습니다.
그러나 각 당 발표자들은 동포 참정권 부여시 선행돼야 할 과제와 대상 등에 대해서는 이견을 보였습니다.
이화영 의원은 `참정권 문제를 비롯, 내년 상반기 재외동포 정책 전반에 대한 획기적인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전제하면서 `현재 참정권 부여 문제를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의원은 `재외동포 관련 정부 내 예산을 비롯한 업무의 통합이 필요하며, 이를 담당할 독립기구의 신설도 불가피해졌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의원은 `현재 어느 선까지, 어떤 선거에 참정권을 주어야 하는지 구체적이진 않지만 논의되고 있다`며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비례대표 선거에 투표할 권리를 주고, 1차적으로는 주민등록이 있는 지ㆍ상사원, 주재원, 외교관 등에 주어야 하고나아가 영주권자에게도 확대돼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홍준표 의원은 `참정권은 정당의 당리당략 차원에서 논의되는 것이 아닌 헌법과 법률에 주어진 권리에 의해 부여되는 것`이라며 동포 참정권 부여는 `무조건 이뤄져야 한다`고 소신을 밝혔습니다.
홍 의원은 또 `빠른 시일 내 참정권과 관련한 법안을 낼 것`이라며 `동포 언론이 이 문제를 집중 부각시켜 달라`고 주문했습니다.
권영길 의원은 `동포 참정권은 주어져야 한다는 원칙엔 공감한다`고 전제한 뒤`그러나 자칫 동포가 국내 정치의 소용돌이에 휩쓸릴 수 있는 사안`이라며 경계했습니다. 권 의원은 `참정권은 북미주, 유럽 지역의 동포만의 문제가 아니라 러시아, 중국, 일본 등지의 동포들의 문제이기도 하다`며 `과거사 청산 차원에서 참정권 문제를 다루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주장했습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