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고추의 매운맛을 내는 캡사이신에 도파민신경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 도파민 신경세포 사멸로 인한 파킨슨병의 새로운 치료법 가능성을 제시했다.
경희대 의대 진병관 교수팀은 6일 고추의 매운맛 성분인 캡사이신을 투여한 파킨슨병 동물모델에서 도파민신경세포 보호 효과가 증가하고 운동기능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연구에서 한쪽 뇌의 도파민신경세포를 사멸시킨 파킨슨병 동물모델에 캡사이신을 투여한 뒤 행동과 뇌 신경세포 내 변화를 관찰, 분석했다.
그 결과 고파민신경세포가 파괴된 뇌 방향으로 빙빙 도는 이상행동을 보이던 생쥐는 캡사이신 투여 후 도파민신경세포 기능이 회복되면서 이상행동이 크게 개선됐다.
연구진은 캡사이신이 뇌를 구성하는 별모양 세포로 신경세포 보호기능이 있는 성상(星狀)교세포에서 통증수용체(TRPV1)를 활성화해 신경영양인자(CNTF)가 생산, 분비되게 함으로써 도파민신경세포를 보호하고 행동 기능을 회복시킨다고 설명했다.
진병관 교수는 "통증수용체와 신경영양인자가 도파민신경세포 보호·기능회복 효과가 있음을 밝힌 최초의 연구라는 데 학문적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 파킨슨병을 비롯한 다양한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전략 개발과 관련 신약 개발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했다"고 말했다.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지원사업으로 수행된 이 연구 결과는 신경과학 국제학술지 '브레인'(Brain, 10월 21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