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을 쪼여서 말라리아의 원인 기생충을 제거하는 새로운 치료법이 나왔습니다.
고려대구로병원 진단검사의학과와 연세대 화학과 공동연구팀은 '광역학치료'가 말라리아의 원인 기생충인 적혈구 내 열원충을 제거하는 데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광역학치료는 빛에 반응하는 '이상 세포'를 골라 죽이는 치료 방법입니다.
광과민제를 혈액에 주사한 뒤 적정 파장의 레이저광을 쪼여서 빛을 받은 광과민제의 화학 반응을 유도하고, 정상 세포를 제외한 말라리아 병원체와 세포를 죽이는 방식입니다.
공동 연구팀은 이러한 원리를 이용해 광 기능성 나노입자에 광과민제를 붙여 말라리아 감염 혈액에 주입한 뒤 가시광선을 쪼였습니다.
그 결과 말라리아 원충을 가진 적혈구만 선택적으로 제거했으며, 이후 8일간의 배양검사에서 적혈구 속 말라리아 기생충이 박멸된 것을 확인했습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기존 약물에 내성을 보이는 말라리아의 새로운 치료법을 제시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봤습니다.
기존 약물은 물론 최근 개발된 치료제인 말라리아 치료제 '아르테미시닌'에도 내성을 보이는 다중약물내성 말라리아가 출현하면서 새로운 치료법 개발이 시급해졌기 때문입니다.
연구팀은 "말라리아는 사람과 동물 사이에 상호 전파되는 인수 공통감염병으로 세계적으로도 매우 강력한 전염병이지만 뚜렷한 치료법이 존재하지 않았다"며 "광역학치료로 말라리아 퇴치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 응용재료 및 인터페이스'에 게재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