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의 비인 명성황후를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새로운 초상화가 나왔습니다.
지금까지 명성황후의 초상화와 사진으로 확정된 작품은 한 점도 없는 상황입니다.
서울 종로구 다보성갤러리는 대한제국 선포 120주년, 광복 72주년을 맞아 14일 개막한 특별전에서 평상복 차림의 '전 명성황후 초상'을 공개했습니다.
이 초상화는 세로 66.5㎝, 가로 48.5㎝ 크기로, 두건을 쓰고 하얀 한복을 입은 여성이 손을 가지런히 모은 채 서양식 가죽 소파 의자에 앉아 있는 모습을 묘사했습니다.
족자 뒷면에는 '부인초상'이라는 글자가 적혀 있습니다.
다보성갤러리 측은 적외선 촬영 결과 '부인' 글자 위에 '민씨'라는 글씨가 있었으나 나중에 훼손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다보성갤러리 측은 해당 초상화가 명성황후 살해범으로 알려진 미우라 고로의 자작시와 함께 발견된 점 등을 들어 명성황후의 초상화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또, 그림 속 인물이 착용한 신발이 고급 가죽신인 데다 이승만 전 대통령이 쓴 '독립정신'의 명성황후 추정 사진과 용모와 분위기가 비슷하다는 점을 들어 명성황후의 초상화가 맞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왕비가 평상복을 입어 격이 맞지 않는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저고리와 치마에 무늬가 있어서 평민이 입던 옷과는 다르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이 그림을 명성황후 초상화로 단정할 만한 결정적 단서가 없다는 반론도 나옵니다.
한복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지는 점을 보면 화가가 한국인이 아니라 일본인일 확률이 매우 높고, 초상화의 얼굴 모양도 일본인과 흡사하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