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경제

서울 아파트 임대시장 "전세가 대세"…거래비중 70% 넘어

Write: 2018-07-10 10:07:32Update: 2018-07-10 11:04:04

서울 아파트 임대시장 "전세가 대세"…거래비중 70% 넘어

Photo : YONHAP News

최근 시중에 전세 물건이 증가하면서 올해 상반기 서울 아파트 전세 거래비중이 70%를 넘어섰습니다.

상반기 거래 기준으로는 2014년 이후 4년 만입니다.

10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등록된 전·월세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상반기 서울 아파트 전·월세 거래량은 총 8만 9천587건으로, 이 가운데 71.6%인 6만 4천186건이 전세 형태로 거래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상반기에 거래된 전·월세 아파트 10건 중 7건 이상이 전세인 셈입니다.

서울 아파트 전세 거래비중은 2014년 상반기 74.9%, 하반기에는 76.7%에 달했으나 저금리의 장기화로 전세의 월세 전환 움직임이 빠르게 확산하며 2015년 상반기에 69.2%를 기록한 이후 줄곧 70% 아래에서 움직였습니다.

전세 품귀 현상이 심화한 2016년 상반기에는 전세비중이 63.3%까지 내려왔고, 반대로 월세 비중이 반기 기준으로는 역대 최대인 36.8%까지 늘어 본격적인 월세 시대가 도래했다는 전망까지 제기됐습니다.

지난해 상반기까지도 66.2%에 그쳤던 서울 아파트 전세비중은 수도권의 새 아파트 입주물량 증가로 전세 공급이 원활해지고 전셋값이 하락하기 시작하면서 지난해 하반기 전세비중이 70.7%로 2014년 하반기 이후 3년 만에 70%를 돌파했습니다.

 이런 현상은 올해 상반기까지 이어지며 지난해 하반기보다도 전세비중이 0.9%포인트 높아졌습니다.

올해 4월 이후 집값이 약보합세를 보이면서 매매 대기 수요 중 일부가 전세 수요로 전환한 것도 전세 거래 증가의 한 원인으로 꼽힙니다.

구별로는 은평구의 상반기 전세비중이 78.2%에 달했고 자녀 학군 수요가 많은 양천구도 78.1%로 높았습니다.

 또, 새 아파트 입주물량 증가 등으로 전세 물건이 늘어난 강동구도 상반기 전세 거래비중이 77.6%에 달했고 강북(74.4%), 광진(73.5%), 중랑(73.15%), 용산(72.8%), 노원구(71.3%) 등도 대부분 70%를 넘었습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