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국제

美CSIS, 이번엔 北상남리 미사일 기지 분석 보고서

Write: 2019-02-16 10:26:37Update: 2019-02-16 11:45:06

美CSIS, 이번엔 北상남리 미사일 기지 분석 보고서

Photo : YONHAP News

2차 북미정상회담을 10여일 앞두고 미국 싱크탱크가 북한 함경남도 허천군 상남리의 미사일 운용 기지에 대한 보고서를 내놨습니다.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빅터 차 한국석좌와 조지프 버뮤데즈·리사 콜린스 연구원은 15일(현지시간) 북한전문 사이트 '분단을 넘어'(BEYOND PARALLEL)에 게재한 보고서에서 함경남도 허천군의 전략 미사일 벨트에 위치했다는 상남리 기지를 집중분석했습니다.

'분단을 넘어'는 앞서 작년 11월 12일 북한 당국에 의해 공식적으로 확인되지 않은 약 20곳의 미사일 기지 중 13곳을 확인했다며 삭간몰 미사일 기지를 소개했고, 지난달에는 신오리 미사일 기지 보고서를 내놨습니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상남리 기지는 평양에서 북동쪽으로 310㎞ 떨어져 있으며 무수단으로 불리는 화성-10 중장거리탄도미사일(IRBM)과 대대급 혹은 연대급 부대를 갖춘 기지입니다.

사거리가 3천㎞가 넘는 화성-10의 배치는 동아시아는 물론 괌과 일본 오키나와에 배치된 미군까지 사정권에 넣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전략을 보여준다고 보고서는 지적했습니다.

상남리 기지는 대공포와 인근의 지대공 미사일 기지로 방어되고 있으며 화성-10의 잇단 시험발사 실패에 따라 성공적 시험발사가 이뤄진 IRBM 화성-12나 중거리탄도미사일(MRBM) 북극성-2를 운용하는 전략군 부대로 대체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서는 덧붙였습니다.

상남리는 북한이 운용하는 약 20개의 탄도미사일 기지로 그간 한 번도 북한 당국이 신고한 적이 없다고 보고서는 주장했습니다. 또 상남리 기지가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의 의제인 것 같지도 않다고 덧붙였습니다.

보고서는 "일각에서는 북한이 이런 미사일 기지들에 대한 신고 의무가 없다고 주장하지만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안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개발과 시험발사를 분명히 금지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만 해체하는 쪽으로 잠정 합의가 이뤄지면 상남리 기지와 다른 탄도미사일 기지로 인한 미군과 한국에 대한 군사적 현존 위협이 모호해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