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사회

미혼자 65% "저출산 타개 정책 도움 안 됐을 것"

Write: 2019-09-24 10:04:10Update: 2019-09-24 10:11:12

미혼자 65% "저출산 타개 정책 도움 안 됐을 것"

Photo : YONHAP News

미혼자 3명 중 2명가량은 정부의 출산 장려 정책이 결혼과 출산을 결심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을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결혼 관련 경제 지원책 중 가장 도움이 되는 것은 영구임대 주택 제공, 전세자금 지원 등이 꼽혔습니다.

24일 가연결혼정보㈜가 리얼미터에 의뢰해 전국 만 19세 이상 44세 이하 미혼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3일까지 온라인으로 조사한 '2019 결혼 인식 조사'를 보면, 응답자의 65%가 정부의 저출산 타개 정책이 '도움 안 됐을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전혀 안 됐을 것'이 26.3%, '별로 안 됐을 것' 38.7%였습니다.

'도움 됐을 것'이라는 응답은 10.0%에 그쳤습니다.

'보통'은 25.0%였습니다.

특히 자영업자 중에서는 부정적 평가 비율이 74.4%로 나타나 정책에 대한 기대감 이 유독 낮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국가·지방자치단체의 결혼 관련 경제적 지원 중 가장 도움이 되는 것으로는 '영구 임대주택 공급'(38.9%)과 '신혼부부 전세자금 지원 확대'(31.0%)라는 답이 많았습니다.

'영구 임대주택 공급'을 선택한 비율은 연령대별로는 30대(46.3%), 지역별로는 대전·세종·충청(49.0%)에서 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출산 축하금 지원'(4.1%), '산후조리 비용 지원'(3.0%) 등 임신 출산 관련 지원대책이 도움 된다는 응답자는 상대적으로 적었습니다.

현재 정부가 지원하는 6개 주요 정책 중 중요도 순으로 2개를 선택하라는 질문에는 '신혼부부 공공 임대 아파트 지원'(66.1%),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52.5%), '신혼부부 다가구·다세대 임대주택 지원(29.2%) 등을 많이 꼽았습니다.

이어 '출산 축하금 지원'(23.4%), '난임 부부 시술비 및 임산부 지원'(18.7%), '신혼부부 건강검진 및 혈액검사 지원'(10.1%) 순이었습니다.

정책별 인지도를 조사한 결과 미혼자 절반가량은 '전세자금 대출'(52.4%), '공공 임대 아파트 지원'(50.4%), '출산축하금 지원'(48.3%) 등을 알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그러나 '다가구·다세대 임대주택 지원'(32.9%), '건강검진 및 임신 시 혈액검사 지원'(16.5%), '난임 부부 시술비 및 임산부 지원'(29.8%)은 인지 비율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연결혼정보 관계자는 "저출산 정책이 결혼을 주저하는 미혼자들에게 결혼을 결심하는 유인이 되지 못하고 있다"며 "결혼을 못 하거나 기피하는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 정책이 조속히 추진될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