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경제

보잉737NG 전세계 53대 운항 정지…불확실성 확대에 업계 '비상'

Write: 2019-10-30 14:06:30Update: 2019-10-30 17:40:12

보잉737NG 전세계 53대 운항 정지…불확실성 확대에 업계 '비상'

Photo : YONHAP News

보잉 737 NG(넥스트 제너레이션) 항공기의 동체 균열 문제가 갈수록 확산하면서 항공업계를 긴장시키고 있습니다.

30일 보잉에 따르면 세계 각국의 항공사들이 결함 공지에 따라 점검한 이 기종 1천133대 가운데 지난 24일 기준으로 53대(4.67%)에서 동체 균열이 발견돼 운항이 중지됐습니다.

한국에서는 전체 150대 가운데 이착륙 3만 회 이상 항공기 42대를 긴급 점검한 결과 9대에서 동체 균열이 확인돼 현재 운항이 중단된 상태입니다.

운항 중지된 항공기는 항공사별로는 대한항공 5대, 진에어 3대, 제주항공 1대입니다.

정부의 안전 관리 실태가 도마 위에 오르자 국토교통부는 이날 9개 항공사 긴급 안전점검 회의를 개최해 비행 2만 2천600회 이상인 이 기종 22대에 대한 점검을 내달까지 조기에 끝내기로 했습니다.

또 비행 2만 2천600회 미만에 대한 항공기에 대해서도 기준에 도달하기 이전에 점검할 계획입니다.

이처럼 보잉737 기종에 대한 리스크가 점차 커지자 이 기종을 보유한 국적 항공사들이 긴장하고 있습니다.

가뜩이나 일본 노선 축소 등으로 불황에 시달리는 상황에서 항공기 운항 정지는 수익성 악화에 직격탄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향후 국토부 조기 점검 결과에 따라 이 기종 동체 균열이 추가로 발견되면 해당 항공기는 바로 운항이 정지됩니다.

특히 제주항공과 티웨이항공은 보유 중인 항공기 각각 45대, 26대가 모두 보잉 737 NG 계열인 보잉737-800이라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이밖에 대한항공(31대), 진에어(22대), 이스타항공(21대)도 적지 않은 보잉 737 NG 계열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스타항공은 보잉 737-맥스(MAX)8 항공기의 추락 사고로 안전 우려가 제기되자 작년 12월부터 보유 중인 이 기종 2대의 운항을 지난 3월 중순부터 중단한 상태입니다.

운항 중단이 장기화하자 이스타항공은 7월부터 보잉737-800 2대를 잇달아 도입했지만, 이 기종마저도 안전 운항에 결함이 발견되면서 운영이 쉽지 않은 모양새입니다.

이스타항공은 지난 2분기 수백억 원대 적자에 이어 3분기에도 여러 악재로 실적 악화가 예상되자 지난달 중순 비상경영체제에 들어갔습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경영 효율을 위해 단일 기종만 도입한 저가 항공사들은 이번 사태가 더 악화하면 큰 어려움에 부닥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보잉은 결함 부위의 부품 전체를 새것으로 교체하는 방식으로 동체 균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입장입니다.

보잉의 기술진은 내달 초 방한해 동체 결함이 발견된 항공기를 수리할 예정입니다.

유건우 보잉코리아 이사는 "세계적으로 문제 기종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면서도 "현재 운항 중지된 항공기를 수리해 정상 운항할 수 있게 하는 일이 우선"이라고 말했습니다.

1968년 출시된 이래 보잉 737의 차세대 기종인 737NG 계열 항공기는 737-600·700·800·900 등이 있습니다.

이는 최근 추락사고로 운항이 중단된 보잉 737-맥스8 기종보다 이전 모델입니다.

보잉 737은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제트여객기 기종입니다.

미국 연방항공청(FAA)은 이달 초 보잉737NG 계열 항공기 동체 구조부에서 균열이 발생한 사례를 발견하고 긴급점검을 요구하는 감항성(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는 성능) 개선 지시를 발행한 바 있습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