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정치

청와대, 일본 '한국인 입국 제한'에 격앙…이례적 강경대응

Write: 2020-03-06 16:56:49Update: 2020-03-06 16:59:27

청와대, 일본 '한국인 입국 제한'에 격앙…이례적 강경대응

Photo : YONHAP News

일본이 코로나19 사태와 관련해 한국인 입국자를 14일간 대기조치 하도록 하는 등 입국제한 강화 방침을 발표하자 청와대는 6일 격앙된 반응을 보였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일본을 향해 '상응하는 조처'를 검토하는 등 강경대응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방역을 위한 인접국들의 연대가 절실한 시점에 일본의 이번 조치는 매우 부적절했다는 것이 청와대의 인식인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일각에서는 중국을 비롯한 다른 국가들의 입국제한 조치 때와 비교하면 이례적으로 대응 수위가 높다는 지적과 함께, 지난해부터 이어진 한일갈등이 그 배경으로 작용한 것 아니냐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청와대는 이날 오전 10시부터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열고 일본의 이번 조치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고 정부 차원의 대응방안을 협의했습니다.

청와대는 이후 배포한 보도자료에서 "일본 정부가 이런 부당한 조치를 우리 정부와 사전 협의 없이 취한 것은 납득하기 어려운 만큼 우리 정부는 상호주의에 입각한 조치를 포함해 필요한 대응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고 전했습니다.

청와대가 '상호주의에 입각한 조치' 등을 검토하겠다고 한 데 따라 정부는 일본인의 방한을 제한하는 등 '맞불 대책'을 내놓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외교부 역시 '일본에 대한 오염지역 지정 및 여행경보 격상 등 상응조치 여부'에 대해 "정부로서는 우리 국민들의 보건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면서 모든 가능한 조치들을 검토 중에 있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참모들 사이에서도 강한 비판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은 전날 'KBS 뉴스9'에 나와 "일본의 발표를 보고 정말 실망했다"며 "심하게 유감의 뜻을 표한다"고 말했습니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우리와 일본의 검사능력 차이에 대해서는 일본 언론 역시 인정한 것으로 안다"라며 "일본 정부에 대한 비난 여론이 높아지는 등 정치적 상황을 고려한 것 아니냐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습니다.

실제로 일본 언론인 니혼게이자이 신문은 지난 2일 "한국은 지난달 29일까지 약 9만4천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검사를 실시했으나, 일본은 약 7천명에 불과하다"며 검사자 수의 차이를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청와대의 다른 관계자도 사견을 전제로 "적반하장이 아닌가"라며 "우리가 일본인의 입국을 제한한다면 모를까, 일본의 이번 조치는 납득하기 어렵다"고 했습니다.

외교부 역시 기자들에게 보낸 메시지에서 "일본이 방역 외 다른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는 점 역시 이런 강경대응 전망에 힘을 싣고 있습니다.

청와대와 정부의 강경 반응에는 지난해 일본의 보복성 수출규제 사태부터 계속됐던 양국 간 갈등 양상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추측도 흘러나옵니다.

한일관계 정상화 실마리를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할 시점에 오히려 코로나19 문제로 한국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는 것에 강한 문제의식을 느꼈다는 것입니다.

김 정책실장 역시 "우리는 한중일 간에 특히나 긴밀한 협조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며 이런 시점에 나온 일본의 발표에 대해 "실망했다"고 언급했습니다.

일부에서는 일본의 이번 조치가 다시 양국의 감정 대립으로 이어진다면 강제징용 배상판결,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 문제 등 복잡하게 얽힌 한일갈등의 출구 모색이 한층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