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양로시설인 경기 광주 '나눔의 집' 운영 의혹과 관련해 경기도가 특별수사팀을 구성하고 본격적인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경기도 공정특별사법경찰단은 21일 특사경 수사관과 경기도청 공무원, 광주시 공무원 등 7명의 조사팀을 `나눔의 집`에 파견해 관련 의혹을 수사하기 위한 사전 조사를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김영수 경기도 공정특별사법경찰단장은 "특사경에 수사 권한이 부여되어 있는 사회복지사업법 상 정부 보조금의 집행과 법인 재산 운영과정에서 위법 행위가 있었는지를 집중적으로 살펴볼 것"이라며 "오늘 조사는 본격적인 수사 착수를 위한 사전 준비 단계"라고 밝혔습니다.
김 단장은 "특히,시설 관련 기능보강사업비가 광주시에서 10억 원이 지급됐고,해마다 관련 보조금이 7억원 정도 지급됐었다"며 "과거 5년 동안의 기능보강사업비 관련 보조금의 집행의 적정성 여부를 집중적으로 따져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후원금 모금과 집행내역이나 회계부정 등에 대해 특사경의 수사권한은 없지만 경찰과 공조한다는 차원에서 최대한 서로 협조하기로 협의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앞서,경기도는 지난 13일부터 사흘 동안 '나눔에 집'에 대한 특별점검을 한 결과,출근 내역이 존재하지 않는 직원에서 급여 5,300만 원을 지급하고 법인 대표이사의 건강보험료를 후원금으로 지출하는 등 다수의 법률 미준수 사례가 발견돼 환수조치 등을 했다고 20일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해,이재명 경기지사는 20일 페이스북 글을 통해 특별수사팀 구성과 경찰과의 공조를 통해 진상을 정확히 규명하겠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