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문화

대한민국 표준영정 1호 '이순신 영정' 철거한다

Write: 2020-06-25 08:19:59Update: 2020-06-25 08:56:12

대한민국 표준영정 1호 '이순신 영정' 철거한다

Photo : YONHAP News

정부가 표준영정 1호인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영정을 현충사에서 곧 철거할 방침인 것으로 KBS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아산 현충사에 있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 영정은 1976년에 지정된 첫 정부 표준영정으로, 한국화가 장우성 화백이 그렸습니다.

하지만 장 화백의 친일 행적이 드러나고, 영정 속 16세기 인물이 19세기 복식을 착용하고 있다며 복식 고증이 엉터리라는 지적까지 나오면서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문화재청이 2010년과 2017년, 문화체육관광부 영정심의위원회에 두 차례 해제 신청을 했지만 모두 반려됐습니다.

화가의 행적은 심의 규정에 없고, 고증 오류는 인정하지만 표준영정 해제 시 사회적 혼란이 생길 수 있다는 이유였습니다.

하지만 10년 넘게 이어져 온 논란은 이제 종지부를 찍을 전망입니다.

현충사관리소가 지난 18일 복식 고증 오류와 작가 친일행적에 대한 지적이 있다며 다시 영정 해제 신청을 했고, 문체부가 올해 광복절 전에 이순신 영정을 철거한다는 내부 방침을 세운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지난해 말 영정 심의규정에 복식과 용모, 사회통념을 추가해 명확한 교체 근거를 마련한 만큼 7월 중 영정심의위원회를 열어 지정 해제 절차를 마친다는 겁니다.

이렇게 되면 이순신 영정은 바뀌게 됩니다.

실제로 표준영정을 교체한 사례도 있습니다.

과거 유관순 열사의 얼굴이 고문으로 부은 수감 시절 사진을 토대로 그려져 실제 모습과 달라 보인다는 지적이 잇따르자 2007년 영정을 새로 제작했습니다.

기존 유관순 표준 영정도 장우성 화백 작품이었습니다.

정부가 지정한 표준영정 98점 가운데 친일 행적이 밝혀진 화가 3명이 그린 영정은 모두 14점입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