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과학

우리나라가 제안한 '그래핀 특성 평가법' 국제표준 채택

Write: 2020-09-13 12:47:59Update: 2020-09-13 12:58:57

우리나라가 제안한 '그래핀 특성 평가법' 국제표준 채택

Photo : YONHAP News

우리나라가 4차산업 시대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경쟁력 토대가 되는 첨단소재인 그래핀과 관련해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의 국제표준 등재에 성공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IEC에 제안한 '플레이크 그래핀의 전기적 특성 평가법'이 5년여의 노력 끝에 IEC 국제표준으로 최종 결정됐다고 13일 밝혔습니다.

그래핀은 벌집 모양의 평면구조로 결합한 탄소로 이뤄진 나노물질로, 전기전도성이 구리보다 약 100배 뛰어나고 금속에 비해 200배 단단하며 1천배 이상 가볍습니다.

특히 플레이크 그래핀은 실리콘, 구리 등을 대체해 배터리 전극 코팅, 방열재료, 초경량 복합 소재 등으로 활용할 수 있어 새로운 고부가가치 소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번에 국제표준으로 등재된 플레이크 그래핀의 전기적 특성 평가법은 전극 제작과 측정 시료의 양, 시료 준비법 등에 대한 자세한 안내와 사례로 구성됐습니다.

기업이 생산한 소재에 대한 객관적 사양을 제시하거나 배터리·반도체·환경필터 등 응용 분야에서 원하는 품질의 제품을 선택하는 데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어 소부장 산업의 생산·개발 역량을 높이는 효과가 기대됩니다.

이번 국제표준 제정은 국표원이 지원하는 국제표준기술력향상사업을 통해 이뤄졌으며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과 국내 연구기관, 대학 등 5개 기관이 컨소시엄으로 참여했습니다.

국표원 관계자는 "지난해 그래핀과 은나노 물질 등 나노 소재 분야에서 IEC 국제표준 2종을 등재한 데 이어 이번에 다시 국제표준 채택에 성공해 국내 소부장 산업의 첨단소재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