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외무상이 스가 요시히데 신임 총리의 취임을 축하하는 문재인 대통령의 서한과 관련해 "솔직히 국제법을 위반하고 있는 것은 한국"이라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습니다.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은 16일 저녁 기자회견에서 '문 대통령이 언제든 마주 보며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 일본이 적극적으로 응할 것을 기대한다는 서한을 공개했다'는 질문을 받자 "한국은 중요한 이웃 나라로 아시아 지역 안보에 한일, 한미일 협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강제징용 배상 문제와 관련해선 "이웃이기 때문에 한일 간 주요 현안에 대해서는 계속 생각하고 있다"면서도 "솔직히 말씀드리면 국제법을 위반하고 있는 것은 한국으로, 이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는 한국이 일본 기업의 자산 매각을 철회하지 않는 이상 대화는 어렵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한 것으로, '아베 내각 정책을 계승한다'는 스가 신임 총리의 기조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앞서 문 대통령은 강민석 대변인이 대독한 입장문에서 "기본적 가치와 전략적 이익을 고려할 뿐 아니라 지리적·문화적으로 가장 가까운 친구인 일본 정부와 언제든지 마주해 대화하고 소통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 "스가 총리 재임 기간 중 한일 관계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함께 노력하자"고 밝혔습니다.
한편 스가 신임 총리는 16일 저녁, 취임 후 첫 기자회견에서 주변국 외교에 관한 의견을 밝혔으나 한일 관계는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스가 총리는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문제는 아베 정권과 마찬가지로 가장 중요한 정권의 과제"라며 "미국을 비롯한 관계국과 긴밀하게 협력해 모든 납치 피해자가 하루라도 빨리 귀국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주변국 외교에 대해서도 "미일 동맹을 기축으로 한 정책을 전개하겠다", "중국과 러시아를 포함한 가까운 이웃 여러 나라와 안정적인 관계를 쌓고 싶다"고 언급했습니다.
미국을 비롯해 중국과 러시아, 북한 등 일본과 인접한 외교 상대에 관해서는 직·간접적으로 언급했으나 한국만 빠진 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