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여파로 해외직접투자액이 2개 분기 연속 감소했습니다.
기획재정부가 18일 발표한 '2분기 해외직접투자 동향'에 따르면 2분기 해외직접투자액은 한 해 전보다 27.8% 감소한 121억 4천만 달러로 나타났습니다.
2018년 1분기(-27.9%) 이후 2년 만에 처음 감소했던 1분기(-4.0%)에 이어 2개 분기 연속 줄었습니다.
감소 폭도 2018년 1분기 이후 9분기 만에 가장 컸습니다.
다만 지난해 같은 달 대비 감소 폭은 4월(-38.3%), 5월(-60.0%), 6월(-0.7%) 등으로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총투자액에서 투자회수액(지분매각·대부투자 회수·청산)을 뺀 순 투자액은 76억 1천만 달러로 작년 2분기보다 46.0% 급감했습니다.
2분기 해외직접투자 급감에는 코로나19 확산 사태가 본격화한 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 때문에 제조업 분야 해외직접투자액은 1년 전보다 62.7% 급감한 21억 5천만 달러로 집계돼 감소세가 두드러졌습니다.
또한, 전체 투자액에서 가장 많은 비중(41.6%)을 차지한 금융·보험업도 1년 전보다 21.3%나 감소해 50억 5천만 달러에 그쳤습니다.
이어 부동산업(16억 달러), 광업(9억 9천만 달러)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이중 부동산업은 저성장·저금리에 따른 수익원 다각화 기조로 인해 투자 증가세가 지속하며 1년 전보다 7.3% 증가했습니다.
지역별 비중을 보면 아시아(30.1%), 중남미(23.9%), 북미(20.6%), 유럽(16.0%), 중동(5.8%) 등 순이었습니다.
국가별로는 케이만군도(20.0%)가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미국(18.0%), 싱가포르(12.3%), 아랍에미리트(UAE) 5.4% 순이었습니다.
투자회수금액은 업종별로는 전기·가스공급업(15억 1천만 달러), 금융보험업(12억 1천만 달러), 광업(6억 달러) 순으로 많았고, 국가별로는 홍콩(15억 3천만 달러), UAE(6억 달러), 케이만군도(5억 9천만 달러) 순으로 많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