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정치

일본 언론 "한국, 미대선 전 김여정 방미 도모"…정부 "사실 아냐"

Write: 2020-10-07 17:16:37Update: 2020-10-07 17:24:03

일본 언론 "한국, 미대선 전 김여정 방미 도모"…정부 "사실 아냐"

Photo : YONHAP News

한국 정부가 11월 미국 대선 전 북한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의 미국 방문 주선을 도모했다고 일본 요미우리신문이 7일 복수의 한미일 협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그러나 한국 정부는 보도 내용을 부인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암초에 걸린 북미 비핵화 회담 재개를 위해 한국 정부는 미국 대선 직전 미국과 북한 사이의 정상급 회담 개최를 검토했습니다.

당초 정상 간에 대담한 결단이 가능한 '톱다운' 방식을 모색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지난해 2월 베트남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의 전철을 밟으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권위 추락을 피할 수 없어 김 위원장의 여동생인 김 제1부부장이 대리로 방미하는 방안이 부상했다고 요미우리는 전했습니다.

지명도가 높고 국내 권력 기반도 강한 김 제1부부장이라면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회담 상대가 될 수 있다고 한국 측은 판단했다는 것입니다.

한국의 국가정보원이 지난 8월 20일 국회 정보위원회에서 김 제1부부장 등에 의한 북한의 '위임통치'를 언급한 것도 "김 제1부부장의 방미를 위한 사전 작업"이라는 게 한미일 협의 소식통의 견해라고 요미우리는 전했습니다.

김 제1부부장이 지난 7월 10일 담화에서 "가능하다면 앞으로 미국 독립절 기념행사를 수록한 DVD를 개인적으로 꼭 얻으려 한다는 데 대하여 김정은 위원장 동지로부터 허락을 받았다"고 밝힌 것은 방미에 대한 사인으로 받아들여졌다고 요미우리는 주장입니다.

요미우리는 다만, "한국 정부는 북미 간 '옥토버 서프라이즈'를 노렸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되고,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방한도 보류되면서 현실은 절망적인 형세"라고 진단했습니다.

한국 외교부는 이날 요미우리 보도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