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경제

3년간 보이스피싱 피해액 1조289억원…70% 못 돌려받아

Write: 2020-10-12 11:13:03Update: 2020-10-12 11:18:07

3년간 보이스피싱 피해액 1조289억원…70% 못 돌려받아

Photo : YONHAP News

최근 3년간 보이스피싱 금액이 1조원을 넘었습니다.

이중 돌려받지 못한 피해 금액이 70%에 달했습니다.

12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최인호(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18개 주요 시중은행 보이스피싱 피해 금액은 1조289억원입니다.

이중 돌려받지 못한 금액은 7천176억원으로 전체 70%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피해 금액을 규모별로 보면 신한은행이 2천75억원으로 가장 많고, 국민은행 1천960억원, 농협 1천861억원, 우리은행 1천582억원 순입니다.

지역은행 중에는 부산은행이 126억원으로 가장 많고, 대구은행 88억원, 경남은행 81억원, 광주은행 39억원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인터넷은행인 카카오뱅크는 123억원으로 전체 시중은행에서 10번째로 피해 금액이 많았습니다.

환수되지 못한 비율로 보면 수협이 81%로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어 SC제일은행 77%, 신한은행 76%, 우리은행 75.5%, 케이뱅크 75%를 기록했습니다.

지역상호금융업무를 하는 수협과 농협의 경우 고령자와 조합원들이 주로 이용하는 지역수협과 지역농협의 피해 규모가 더 컸습니다.

수협의 경우 3년간 피해액이 122억원인데 수협은행이 36억원으로 30%를 차지했고, 지역수협이 86억원으로 70%를 기록했습니다.

농협은 피해액 1천861억원 중 농협은행이 625억원(34%)이고, 지역농협이 1천236억원(66%)입니다.

최 의원은 "보이스피싱 범죄가 점차 지능화되고 피해 금액도 커지고 있어 고령자 피해방지 대책과 환수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습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