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국제

한·미, `6자회담서 대북 중유제공 논의가능'

Write: 2007-02-05 08:57:26Update: 0000-00-00 00:00:00

한·미, `6자회담서 대북 중유제공 논의가능'

한국과 미국은 오는 8일 열릴 6자회담에서 북한이 핵 동결 등 9.19 공동성명 이행의 초기단계 조치를 이행하는데 동의할 경우 상응조치 차원에서 대북 중유제공 문제를 논의할 수 있다는 입장인 것으로 4일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양국은 9.19 공동성명에 명시된 경수로 제공 및 200만kW 대북 송전은 초기단계 조치에 대한 상응조치로 거론될 수 없다는데 뜻을 같이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미국의 6자회담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이날 우리 측 수석대표인 천영우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만찬 회동 후 "중유제공에 대해 협의한 적은 없다"고 전제하면서도 "9.19 공동성명에 에너지 및 경제지원 관련 조문이 있다"고 말해 중유 문제를 논의 대상에서 배제하지 않고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우리 정부 고위 당국자도 "북.미 양국 당국자로부터 북한이 중유 또는 에너지 제공을 요구한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 없다"면서도 "중유는 제도적.법적.기술적으로 한.미.중.러.일 등 5개국이 합의하면 줄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오픈'돼 있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일본 아사히 신문은 이날 최근 방북한 미측 인사들의 전언을 근거로 북한이 오는 8일 재개될 차기 6자회담에서 영변 핵시설 동결 등 초기조치의 대가로 연간 50만t의 중유나 그에 상응하는 대체 에너지 제공을 요구할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

북.미가 1994년 도출한 제네바 기본합의에 따르면 미국은 영변 5MW원자로 등 핵시설 동결의 대가로 북한에 연간 50만t의 중유를 제공키로 했으며 이 합의에 따라 2002년 북한의 고농축 우라늄 프로그램(UEP) 파문이 불거지기 전까지 북한에 중유를 제공했습니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