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의.동해선 열차 시험운행에 따르는 군사적 보장조치를 논의하기 위한 제5차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이 8일 오전 10시 판문점 북측지역 통일각에서 개최돼 본격 협의에 들어갔다.
그러나 남측은 오는 17일 열차 시험운행을 위한 군사보장 조치를 먼저 논의하자는 입장인 데 비해 북측은 서해충돌방지 방안과 공동어로 실현, 열차시험운행을 포함한 남북경협사업의 군사보장 조치 문제 등도 함께 논의하자고 주장, 이견을 노출했다.
양측은 오전 10시부터 11시25분까지 전체회의와 12시30분부터 오후 1시10분까지 수석대표 접촉을 가진데 이어 오후 3시부터 6시까지 수석대표 및 실무접촉을 갖고 이견을 조율했으나 입장차만 확인하고 내일 오전 10시 실무대표 접촉을 열어 재차 협의키로 의견을 모으고 첫날 회담을 마쳤다.
남측 대표인 문성묵 국방부 북한정책팀장은 오후 회담 후 기자와 만나 "오후 회의에서 북측은 공동어로 문제와 열차 시험운행의 군사보장 문제와 관련한 자기측 입장을 제안했고 우리 측은 서해 해상 충돌방지와 공동어로 수역, 철도.도로 군사보장 조치와 관련된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남북은 첫날 회담에서 사실상 열차 시험운행을 위한 군사보장 문제에 대해서는 협의를 거의 진행하지 못했다.
앞서 문성묵 팀장은 오전회담 후 브리핑에서 "우리 측은 오는 17일 열차 시험운행을 비롯해 철도.도로 통행을 위한 군사보장 문제를 우선 협의하자고 북측에 강조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북측은 서해 해상 충돌방지 및 공동어로 실현문제와 철도.도로 통행을 위한 열차 시험운행을 포함한 남북 간 경제협력의 군사보장 문제도 함께 협의하자고 주장했다"고 전했다.
정부 당국자는 이와 관련, "경협사업의 군사보장에 대해 북측이 구체적으로 밝힌 것은 아니었지만 우리로서는 철도.도로 시험 및 상설운행, 임진강 수해방지사업, 한강하구 모래채취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