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이명박 전 시장이 자신의 친인척을 상대로 임야와 건물을 매각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실제 소유자가 누구인지와 이에따른 '부동산 투기'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이 전시장은 지난 1977년 충북 옥천군의 임야 37만여평을 3천만원에 매입했으며 이를 5년뒤인 82년, 처남인 김재정씨에게 2천 500만원에 되판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그런데 이 전 시장은 처남에게 땅을 팔기 전인 지난 1980년 이 땅에 충북 옥천농협을 채권자로 하고 채권 최고액을 190만원으로 하는 근저당권을 설정해 명의신탁을 한 것이라는 의혹이 있다고 일부 언론은 보도했습니다.
이 언론은 또 이 전시장이 지난 1994년 서울 양재동의 지하 1층, 지상 5층 건물을 맏형인 이상은씨와 처남 김씨가 공동 설립한 자동차 부품업체 대부기공에 넘긴 것으로 나타나 실제 소유주가 누구인지 의문이 일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대해 이전 시장측 박형준 대변인은 문제의 땅에 설정돼 있는 근저당은 담보대출에 의한 근저당이 아니라, 산림보호법에 따라 농협이 나무를 보호하기 위해 설정한 것으로, 농협이 행정착오로 채무자를 변경하지 않았던 것이라고 반박했습니다.
박형준 대변인은, 이 전 시장이 당시 부동산을 명의신탁할 필요가 전혀 없었으며, 시가에 전혀 못 미치는 190 만 원이 근저당으로 설정됐던 것만 봐도 부동산 투기 의혹은 성립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박 대변인은 또 양재동 건물은 부품업체인 대부기공의 필요에 따라 판 것이며 정상적인 입출금 내역까지 나와 있다고 반박했습니다.
박형준 대변인은 사실과 다른 내용으로 의혹을 제기한 언론에 대해 정정보도를 요구하는 한편, 관련 기사를 인터넷 포털 사이트 등에 게재하는 경우에도 법적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