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국정원 부패척결 태스크포스의 존재 여부를 인지한 시점과 관련, "최근 이 사건이 불거지고 나서야 알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국정원이 청와대 민정 수석실에 보고할 때 어느 조직에서 생산한 정보인 지를 일일이 밝히지 않는 것은 정보기관의 특성상 당연하다"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천 대변인은 또 "청와대가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될 수 있거나 구조적 발생원인을 갖고 있는 부패 사안에 대해 정책 정보차원에서 국정원 보고를 받아왔다는 것은 이미 국민과 언론에 알려져 있는 사실"이라며 "바다이야기, 행담도, 제이유 사건 같은 것들이 그런 사례"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천 대변인은 노무현 대통령이 최근 내부 논의를 갖고 대선 이후에도 정부 고위직 인사권을 행사하기로 방침을 정했다는 일부 언론 보도와 관련해 "청와대가 그런 것을 논의하고 점검했다는 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습니다.
천 대변인은 "그런 주제는 청와대 내부에서 토론과 논의의 대상이 아니"라면서 "대통령의 인사권은 법률이 정한 바에 따라 행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