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Go Top

국제

한국인 인질 '전원석방' 교섭 진행중인 듯

Write: 2007-08-26 21:49:45Update: 0000-00-00 00:00:00

한국인 인질 '전원석방' 교섭 진행중인 듯

피랍 한국인 19명을 석방하기 위한 한국측과 탈레반간 교섭이 '상당히 깊은 단계'로 접어들었으며 그 결과가 조만간 드러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양측의 교섭은 '19명 전원석방'을 전제로 진행중이며 탈레반측도 '조속한 해결'에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다만 일부 외신에서 전한 것처럼 양측이 이미 `전원석방에 합의한 상태'는 아니며 또 탈레반측이 인질 석방을 위해 몸값을 `구체적으로' 요구해온 상황도 아니라고 정부 소식통이 26일 전했습니다.

이 소식통은 "아직은 탈레반측이 요구한 것이라고 할 수 없다"면서 "현재 모든 곳에서 다 움직이고 있으니 그 결과가 수일내 나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다른 소식통은 "탈레반과의 전화접촉 등은 계속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 일본의 아시히 신문 인터넷판은 26일 탈레반측이 인질 석방 조건으로 1인당 10만달러씩의 몸값을 요구해왔다고 보도했습니다.

아사히 신문은 탈레반과 한국측 사이의 대면협상이 지난 16일 이후 이뤄지지 않고 있으나 휴대전화를 통한 접촉은 계속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만일 탈레반측이 몸값을 요구했을 경우 일종의 전술변화로 해석돼 피랍 39일째를 맞은 사태의 추이가 주목됩니다.

탈레반측은 그동안 인질 석방의 대가로 수감중인 `탈레반 전사'들을 풀어 줄 것을 요구했으며 아프간 정부는 이를 거부해왔습니다.

한국측은 탈레반의 '수감자 석방' 요구가 한국이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며 아프간 정부를 설득할 수 도 없다는 입장을 전달해왔습니다.

앞서 아프간 이슬라믹 프레스(AIP)는 25일 현지의 권위있는 소식통의 말을 빌어 탈레반이 한국측과 석방협상을 타결, 곧 인질들을 풀어줄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AIP는 양측간 합의에 따라 한국측은 아프간 주둔 한국군을 수주내에 철수시키고 현지에서 활동하는 기독교 선교사들도 귀환시킬 방침이며 이런 합의 내용을 26일께 발표할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정부 당국자는 이에 대해 "아직 합의된 사항이 없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외교소식통들은 현 상황에 대해 탈레반측이 교섭에서 제시한 내용이 이른바 '탈레반 지도자위원회'의 결정을 토대로 한 것인 지가 가장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만일 몸값요구 등이 지도자위원회의 결정에 따른 것일 경우 한국측과 탈레반간 교섭이 급진전돼 인질 석방이 조기에 가시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하지만 지도자위원회 등 상부기관의 결정이 아닌 하부조직의 일방적인 요구를 토대로 한 것이라면 교섭이 장기화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탈레반측이 그동안 요구해온 수감자 석방문제는 이슬람 최대명절인 라마단을 앞두고 통상 시행되는 '특사형식'을 활용해 탈레반측이 요구하는 일부 수감자를 풀어주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소식통들은 보고있습니다.

한편, AIP가 한국측과 탈레반 간 중재역할을 했다고 지목한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중인 송민순 외교통상부 장관은 25일 압둘라 사우디 국왕을 예방, 노무현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했습니다.

정부 당국자는 "송 장관이 이번에 중동 순방의 일환으로 방문하는 사우디와 카타르, 아랍에미리트는 과거 탈레반 정권 집권시 다른 아랍국과 달리 탈레반을 승인하는 등 각별한 관계를 유지해왔다"면서 "따라서 이 나라 고위인사들이 나서서 탈레반을 설득하면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연합뉴스]

뉴스 플러스

관련 뉴스

Close

우리 사이트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쿠키와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계속 이용함으로써 당신은 이 기술들의 사용과 우리의 정책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