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6자회담 미국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차관보는 북한이 시리아에 핵물질을 판매했다는 보도와 관련해 북한의 확산 문제는 6자회담 틀 안에서 해결해야 하며 2.13 합의에 따른 핵 프로그램 신고가 이뤄지면 북한의 확산 여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힐 차관보는 다음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6자회담 참석을 앞두고 국무부에서 언론 브리핑을 통해 북한의 확산문제는 애초부터 매우 중요한 문제였으며, 확산 문제는 한반도 비핵화를 목표로 한 6자회담을 가속화해야 할 절실한 이유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힐 차관보는 그러나 북한이 시리아에 핵물질을 판매했다는 보도에 대해 이를 확인하거나 부인할 입장에 있지 않다며 언급을 피했습니다.
힐 차관보는 2.13합의에 따른 북한의 핵프로그램 전면 신고가 이뤄지면 북한의 모든 핵프로그램과 확산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며 "신고가 끝나면 그들이 다른 나라에 조금이라도 확산을 했는지 여부에 대한 아주 분명한 아이디어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힐 차관보는 방북한 3개국 북핵 기술팀이 영변 핵시설들을 둘러본 뒤 북한측 전문가들과 아주 구체적인 협의를 벌였으며, 이를 토대로 다음주 열리는 베이징 6자회담에서 연말까지 불능화를 이룩할 수 있는 실행 계획을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힐 차관보는 미국과 중국, 러시아 3개국 기술팀이 북한측과 영변 핵시설 불능화에 대한 아주 세밀한 협의를 벌였지만 정식 합의에 이른 것은 아니며, 협의 결과를 6자회담에 보고해 최종 불능화 계획이 마련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힐 차관보는 또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에는 많은 시간이 걸리는 점을 감안해 불능화와 신고의 2단계 이행이 끝나면 올 연말께 한반도 평화협정에 대한 논의가 시작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그러나 한반도 평화협정에 대한 최종 서명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가 이뤄질 때까지는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