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자 회담 이틀째인 28일 참가국들은 수석대표회의와 양자회동을 잇따라 열어 핵시설 불능화와 핵 프로그램 신고 등 비핵화 2단계 조치의 시한과 방법을 집중 논의하고 있습니다.
참가국들은 영변의 5메가와트 원자로와 재처리 시설, 핵연료봉 제조공장 등 핵시설을 올해안에 불능화하는데는 공감했지만 구체적인 불능화 수준에 대해선 이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각국은 또 북한이 보유한 핵 프로그램을 올해안에 신고하는데는 합의했지만 신고 목록과 범위에 대해서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와 관련해 천영우 한반도 평화교섭 본부장은 28일 오전 기자들에게 북한과 나머지 참가국이 생각하는 불능화와 신고 수준에 차이가 있긴 하지만 참가국 모두, 합의에 도달하기 위한 정치적 의지가 있기 때문에 그 차이는 극복 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천영우 본부장은 이어 불능화와 신고 문제에 대한 28일 협의 결과가 이번 회담 향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차관보는 핵 불능화 방법에 대해 아직 합의된 것은 없지만 재가동을 위해 최소 2달 이상이 필요한 불능화를 염두에 두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힐 차관보는 이어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북한을 제외하는 문제는 아직 논의중이며 28일부터 합의문 초안 작업에 들어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28일 회의가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29일은 북한에 대한 정치적,경제적 상응 조치에 대해 논의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정부 당국자는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