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내 반중국 시위로 ‘사망자 발생’
베트남이 근로자 시위 중 발생한 한국인 투자업체 피해와 관련해 배상 방침을 밝힌 가운데, 베트남 내 반중국 시위는 좀처럼 진정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시위 과정에서 중국인 노동자가 사망하는 등 반중국 시위로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현지에선 중국인 10여명이 행방불명 상태로, 앞으로 더 많은 추가 사망자가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중국은 반중 시위로 중국인이 사망한 데 대해 당황하는 기색이다.
반중시위 촉발 배경…中, 분쟁지역내 시추 장비 설치
이번 베트남에서의 반중 시위는 중국이 최근 영유권 분쟁 지역인 남중국해 파라셀 군도 해역에 초대형 심해 석유 시추 장비를 일방적으로 설치하면서 촉발됐다. 중국은 지난 4일 축구장 크기의 초대형 장비를 해당지역으로 이동시켰다. 중국은 이곳이 중국 고유의 영토로 영유권 분쟁이 존재하지 않는 곳이라는 입장이다. 그러나 베트남은 “이 지역은 베트남의 배타적경제수역(EEZ)”이라며 크게 반발했고, 해군 함정과 연안 경비대 초계함 등 29척을 급파했다. 급기야 이들 선박들 간의 충돌전까지 벌어졌고, 이 과정에서 베트남 초계함이 일부 부서지기도 했다.
中 남중국해 시추장비 설치 배경은?
한편, 이런 베트남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원유시추 작업을 강행한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지난해 미국 에너지정보청은 해당지역에서 석유와 천연가스를 대량으로 뽑아내기는 어려울 것이란 보고서를 낸 바 있다. 시추비용에 비해 상업적 가치가 떨어진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중국이 시추작업을 강행한 것은 자원개발이 목적이 아니라, 영유권 분쟁지역에서 우위를 점하려는 전략적 포석이 깔려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달 미국 오바마 대통령이 아시아 순방기간 중에 중국의 남중국해 영유권 공세를 비난하고, 동중국해 분쟁에서도 일본을 지지한다는 종전의 입장을 재확인 한 것도 이번 원유 시추를 강행한 배경으로 꼽히고 있다.
남중국해를 비롯한 영유권분쟁으로 인한 중국의 주변국들과의 갈등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