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은 첨단 ICT(정보통신기술) 축제의 장이 된다.
초고화질로 중계방송을 즐기고, 인공지능 통번역으로 언어장벽이 낮아진다.
사물인터넷이 선수와 관중을 편리하게 해 주고, 자율주행차가 도로를 누빈다.
각종 최첨단 신기술이 이전과는 판이하게 다른 올림픽 무대를 만들어내게 되는 것이다.
대회 조직위원회도 ICT 올림픽을 표방하고 있다.
평창에 세계 최초의 5G(5세대) 이동통신에서 사물인터넷, 초고화질 방송, 인공지능, 가상현설, 자율주행차 등 첨단 기술이 총동원되는 것이다.
가장 먼저 피부에 와 닿는 것은 UHD 방송이다.
국내 지상파 방송사들은 올림픽 경기를 UHD 화질로 생중계할 예정이다.
UHD 방송은 현재 HD보다 4배 이상 선명한 화면과 입체적 음향을 제공한다.
국내 기술로 구현한 'UHD 체험스튜디오'도 평창 일대에 들어선다.
UHD 방송은 지난 5월말 시작돼 현재 수도권에서만 시청 가능하다.
또 한가지 주목되는 것은 평창올림픽 주관 통신사 KT의 5G 시범서비스다.
세계 각국이 도쿄올림픽이 열리는 2020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므로 한발 앞선 행보다.
5G는 최대 속도가 20Gbps로 LTE 속도 보다 40∼50배 빠르고, 처리 용량도 100배 많다.
현재 LTE의 최대 속도는 400∼500Mbps에 불과하다.
이같은 5G 통신망을 이용해 360VR 싱크뷰 타임슬라이스 등 실감형 콘텐츠도 대거 선보인다.
360VR은 문자 그대로 360도를 볼 수 있는 동영상이다.
이를 이용하면 경기장에 가지 않아도 경기장에 있는 것과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다.
중계화면에서 특정 선수 등 자신이 원하는 부문만 골라 볼 수도 있다.
싱크뷰는 초고속 카메라에 5G 통신모듈을 탑재해 선수 시점의 영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스키 점프나 봅슬레이 같은 경기를 마치 자신이 직접 선수가 된 것처럼 즐길 수 있다.
타임슬라이스는 수십 대의 카메라로 찍은 입체 영상으로 찰나의 순간을 포착하는 것이다.
언어 장벽도 허물어질 전망이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통·번역 기술이 세계가 모이는 올림픽의 언어 장벽을 크게 낮추는 것이다.
평창올림픽의 공식 통·번역 앱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개발한 지니톡이다.
이용자가 지니톡에 대고 말만 하면 음성과 문자로 자동으로 번역돼 나온다.
서비스 언어는 영어·중국어·일본어·프랑스어·스페인어 등 29개 언어에 달한다.
지니톡을 운영하는 한컴은 평창 일대에 통역 로봇을 배치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올림픽 체험은 사물인터넷(IoT)으로 한층 편리해진다.
강릉 월화거리에 조성되는 'IoT 스트리트'에서는 무인기기(키오스크)를 통해 식당·숙박·교통 정 선수와 관람객은 스마트폰으로 교통·경기·숙박·관광·쇼핑 등의 맞춤형 서비스를 받는다.
정밀 위치측정과 가상현실(AR) 등 IoT 관련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지는 서비스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하나로 입국부터 출국까지 원스톱 서비스가 이뤄진다는 것이다.
대회 기간 중에는 자율주행차가 도로를 누비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국토교통부와 현대자동차가 만든 자율주행차는 개막일 서울톨게이트에서 올림픽 행사장까지 시연 주행을 하고, 올림픽 기간 내내 일반 시민을 위한 셔틀로 운영된다.
이 차에 탑재되는, 오차 범위를 크게 줄인 HD급 고정밀 지도도 주목거리다.
한국은 세계가 공인하는 ICT 강국이다.
또 서울올림픽, 한일월드컵 등 굴지의 세계 스포츠 이벤트를 성공적으로 치러낸 경험이 있다.
이같은 기술과 경험이 만나 이전과는 전혀 다른 올림픽의 세계를 창조해 내는 것이다.
이로써 세계는 ICT의 신세계를 미리 체험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또한 한국에게는 ICT 능력을 한 차원 높이는 계기가 된다.
언어장벽없는 최첨단 ICT 올림픽...바로 이것이 평창이 지향하는 대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