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평창 동계올림픽 기간 관광 활성화를 위해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필리핀 등 동남아 3개국 단체 관광객의 무비자 입국을 한시적으로 허용하기로 했습니다.
올해 말로 끝날 예정인 유커의 전자비자 발급수수료 감면혜택도 내년까지 연장됩니다.
정부는 3일 민·관 합동 경제현안간담회를 열고 이런 내용의 '방한 관광시장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먼저 2018년 4월까지 양양공항에 입국하는 인도네시아·베트남·필리핀 3개국 단체관광객의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기로 했습니다.
또 올해 말에 종료 예정인 중국인 단체관광객 전자비자 발급수수료 감면혜택을 내년 말까지 연장해 주기로 했습니다.
발급수수료는 1명당 15달러입니다.
여기에 내년에 한시적으로 법무부가 지정한 크루즈선을 타고 입국하는 중국인 관광객은 무비자 관광 상륙을 허가해주기로 했습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OECD 국가를 1회 이상 방문한 경력이 있는 동남아와 중국 국민에게는 복수사증이 발급된다. 다만 치안여건 등을 감안해, OECD 국가 가운데 동남아 국민을 주로 근로자로 유입시키거나, 비자발급이 쉬운 나라는 제외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이와 함께 K-POP 콘서트 투어 상품과 'K-POP스타-팬 연계형' 관광상품을 개발, 해외에 홍보하기로 했습니다.
베트남어와 태국어, 아랍어 등 특수어 가이드를 확충하기 위해 관광통역안내사 시험 응시자격 완화도 추진한다. 유학 경험자 외국어시험 면제기준을 4년 유학에서 3년으로 완화하고, 3년 이상 해외 거주자에 대한 외국어시험 면제제도 도입 등도 포함됐습니다.
또한, 외국인 관광객의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12월부터 섬진강 휴게소 내 영·호남 환승 센터를 신규 운영하고 북수원·판교 등에 환승시설을 확충하기로 했다. 택시 부당요금을 막기 위해 특정구간에 정액 요금을 적용하는 구간요금제 도입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김동연 경제부총리는 이날 간담회에서 "작년까지 방한 관광산업은 성장했었지만, 올해 들어 크게 위축됐다"며 "중국과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논란으로 인한 안보 이슈로 중국 관광객 수가 올해 3월부터 9월까지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61.3% 감소했다"고 밝혔습니다.
김 부총리는 이어 "다행히 한·중 관계가 개선되고 평창 올림픽, 패럴림픽이 100일 안으로 다가와 관광산업의 어려움을 극복할 중요한 모멘텀이 될 기회"라며 "관광산업 체질 개선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이번 관광시장 활성화 방안이 "관광시장 다변화, 고부가가치 관광 확대 등을 추진하는 것을 주 내용으로 삼았다"면서 "적극적인 벤처 육성으로 관광산업을 혁신할 것"이라고 정책 방향을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