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종의 리더십 2013-02-23 세종에 이어 조선의 5대 왕으로 즉위한 문종은 즉위 2년 만에 세상을 떠나 그의 업적에 대해 많은 기록이 없다. 그러나 세종 말기 세종을 보좌하면서 조선의 발전을 위해 많은 기여를 ...
<택리지>의 저자, 이중환 2013-02-21 조선의 베스트셀러 조선 시대, 가장 많이 읽힌 책은 무엇일까? 문(文)을 중시했던 나라답게 조선의 기록 문화는 경이로울 정도로 찬란하고, 조선 ...
인간 세종 2013-02-16 세종대왕은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집현전을 만들어 많은 학자들을 육성해 조선의 교육, 문화, 과학 발전에 기여하는 등 가장 업적을 많이 남긴 왕이다. 그러나 이면에는 슬픈 ...
최초의 한글 조리서의 저자, 장계향 2013-02-14 세상에 나오다 1960년, 국문학자인 김사엽(金思燁) 박사가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 이휘일(李徽逸) 선생의 후손 서가에서 한 권의 고서(古書)를 ...
세종의 사가독서(賜暇讀書) 2013-02-09 세종대왕은 집현전을 설립해 그 곳을 중심으로 유능한 학자들을 양성해 학자들이 학문에 전념하고 좋은 정책들을 많이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집현전 학자들을 격려하기 ...
조선의 여성 여행가, 김금원 2013-02-07 1795년 큰 흉년이 들자, 제주의 거상(巨商) 김만덕(金萬德)이 사비를 털어 굶주린 백성 천 여명을 살려냈다. 이를 고맙게 여긴 정조(正祖)가 ...
2월5일 멕시코헌법제정을 앞두고 뒤돌아본 멕시코 혁명의 역사 2013-02-02 요즘은 세계에는 우리 한국을 모델로 삼는 나라를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지난 해 12월 취임한 멕시코 니에토 대통령은 ‘한국의 교육열과 정보기술을 본받아야 ...
세종의 형제에 대한 배려 2013-02-02 세종은 조선 최고의 왕으로 다양한 리더십으로 나라를 이끌었는데 왕위에 오른 후에도 형제들에 대한 각별한 애정과 배려로 따뜻한 리더십을 보여줬다. 건국대 사학과 신병주 ...
조선의 코페르니쿠스, 홍대용 2013-01-31 근대 천문학의 선구자 대다수 조선의 선비들이 과거시험에 매진하던 18세기, 망원경을 들고 하늘을 관측하던 선비가 있었다. 기하학을 바탕으로 ...
개항 130주년을 맞는 인천의 역사 2013-01-26 어느덧 2013년도 1월이 다 지나가고 있습니다. 새해를 맞이할 때마다 그 해의 숫자가 지니는 특별한 의미를 되새기게 되는데요, 올해는 서울에 인접한 항구도시 인천이 ...